메뉴

short story 2nd《鬼怪神话传说》도깨비 설화


       韩国的鬼怪是“介于人与事物之间的存在体”,与没有实体的“鬼”或“鬼神”有着很大的差别。在中国的神话系统中,将非人的存在细分为神、仙、妖、魔、鬼、怪六种。其中,“鬼”是“死人幻化”的“灵”或“魂”,“怪”是“物”,是非人的存在。可见,电视剧《도깨비》的中文名字
《鬼怪》起得多么符合中国文化。高丽时期的大将军金信,因遭到王的猜忌而遇害,死后化为以剑为实体的鬼怪,获得了“永生”和强大的能力。虽然他是人死后幻化的“灵体”,但本质是一把剑,所以“鬼”与“怪”拼成的“鬼怪”之名,对金信再适合不过了。

 


       鬼怪虽有着与人相似的形象,但其本质是扫帚、剑等事物,所以拥有单纯、朴实的性格特征。有一个韩国传统民间故事最能体现鬼怪这样的性格:从前,有一个男子借钱给一个鬼怪。鬼怪很快就还钱了,但他记性不好,每到早上都会忘记前一天还钱的事情,所以每天晚上都来找男子还钱。男子一开始很乐意多收鬼怪的钱,后来他觉得鬼怪每晚找他很麻烦,并且他从鬼怪那里拿到的钱已经够多了,所以他决定甩掉鬼
怪,家里洒满了鬼怪害怕的马血,大声喊,“我好害怕钱啊!”被马血恼火的鬼怪,听到男子的话后,为了报复,在男子的庭院里堆满了金币,并大笑着离开了。鬼怪如此单纯、无知、朴实的形象很是滑稽,让人无意间会对其产生亲切感。电视剧《鬼怪》的作家金恩淑,捕捉到了鬼怪这样的特性,成功塑造出了金信的人物形象。金信听到恩卓说的“帅”,开心地跑出去买一大把葱回家的样子,可爱得让人“为难”。
       可能是因为鬼怪有着如此让人喜爱的性格特征,鬼怪在韩国是象征着“富裕”与“幸运”的福神,帮助好人实现愿望,惩罚害别人的恶人,作诗来预言人的未来。在韩国,有关大海鬼怪的民俗信仰至今还保留着:若有鬼怪的帮助,渔夫会捞上很多鱼;若鬼怪插手,渔夫就会空手而归。
       另外,从韩语“도깨비”中,可以直接找出鬼怪成为韩国人喜欢的福神的原因。“도깨비”源于意为“火与种子”的“돗”与意为“成人男子”的“아비”拼成的“돗아비”。从词源来看,传统意义上的鬼怪,是像剧中金信一样高壮、帅气的成人男子,完全不同于韩国人心目中典型的鬼怪形象。近代以来,大家认为鬼怪是“头上长角、穿着原始人一样的服装、手里拿着长棍子的怪物”,而这似乎是遗留至今的日本统治文化痕迹。

 

笔者 金新星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