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6·12 북미 정상회담 불발, “판 깨진 건 아니다”

 

612일로 예정됐던 북미 정상회담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전격 취소됐다. 북미 회담의재개 여부는 아직 확실치 않지만 여전히 가능성은 남아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환담을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 지 하루 만에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했다. ⓒ청와대 

 

트럼프 대통령은 24(현지시간) 서한을 통해 현 시점에선 적절하지 않을 것 같다며 북미 회담을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당신(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길 굉장히 기대했다면서도 최근 당신의 발언에서 보인 엄청난 분노와 열렬한 적대감으로 인해 슬프게도 오랫동안 준비해 온 이번 회담이 열리기엔 부적절한 시기라고 느낀다고 말했다.

 

 

 트럼프가 김정은에게 보낸 북미 정상회담 취소 서한. news1

 

싱가포르에서 열릴 예정이던 북미 정상회담을 약 20일 앞두고 나온 것이자 이 회담을 개최하겠다고 밝힌 지 2달여 만의 취소 선언인 것이다정상회담을 앞두고 북미 간 갈등이 표면으로 드러난 것은 비핵화 해법에 대해 간극을 끝내 좁히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북한측은 기민하게 반응했다. 북한은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위임 담화를 통해 유감을 표하면서도 대화 재개 의지를 드러냈다. 김 제1부상은 “’트럼프 방식이라고 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실질적 작용을 하는 현명한 방안이 되기를 은근히 기대하기도 했다우리는 아무 때나 어떤 방식으로건 마주앉아 문제를 풀어나갈 용의가 있음을 미국측에 다시금 밝힌다고 전했다. 북한이 이례적으로 미국의 발표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사태를 수습하려는 모양새지만 당장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발표를 뒤집는 것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언젠간 만나기를 고대한다며 추후 회담 가능성은 열어뒀고 김 제1부상의 담화에 트럼프 방식을 기대했다는 표현이 담겨있는 만큼 정상회담 재개의 불씨가 여전히 남은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정상 간 만남은 뒤로 미뤄지더라도 실무 접촉 등을 통해 대화의 끈을 놓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이 트럼프 방식에 대해 적극적으로 얘기한 것은 이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문제 해결 방법에 공감하고 있다는 것은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기사=이동경 기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