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반도 전역 40도를 오르내리는 한낮 더위…열대지역 방불케

ⓒnews1


서울을 비롯한 전역에 지난주(16~20) 폭염이 계속돼 시민들을 괴롭혔다.
40
도를 오르내리는 한낮 더위는 열대지역을 방불케했다. 밤에도 20도 후반의 열대야가 계속돼 시민들이 밤잠을 설쳐야 했다.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위가 지속됐기 때문이다

일주일 넘게 밤낮없이 이어지는 찜통더위로 더위를 피하려는 각종 이색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도심 대형마트나 카페마다 폭염을 피해 나온 시민들로 밤늦도록 붐볐다. 더위는 피해야겠고, 전기세 폭탄은 두렵다보니, 에어컨 빵빵한 대형마트로, 카페로 피신하는 이른바 '폭염 난민'이 늘었기 때문이다.덩달아 대형마트 고객이 27% 늘면서 매출도 23% 증가했다. 편의점도 아이스크림 음료, 양산같은 더위관련 상품이 불티나게 팔렸다.


이뿐만이 아니라 회사가 시원하다보니 스스로 일찍 출근하는 사람들이 늘었고, 점심도 밖에서 여유있게 즐기기보다는 구내식당이나 배달음식으로 간단히 해결하는 직장인들이 늘었다.하지만 공원과 재래시장, 또 호프집, 고깃집 등도 손님이 절반으로 뚝 떨어져 울상이었다.


지난 11일 폭염이 시작된 이후 20일까지 온열질환자는 모두 633, 이 가운데 사망자도 6명에 달했다. 폭염관련 119구급 출동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많았다. 기상청은 "무더위가 장기간 지속되는 만큼 열사병 위험이 높다"면서 "농축수산물 및 수산물 관리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필자 이미지​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