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춤바람’이 건강에 좋다?

@News1


우리 한국인에게 춤바람은 좋은 뜻이 아니다. 춤에 미쳐 아무 일도 못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춤이 몸과 정신 건강에 좋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이는 드물다.


실제 최근 의학계에서 춤은 질병 예방과 치료 적극 활용되고 있다.


처음 춤을 의학에 접목시킨 이는 미국 사회심리학자인 조지프 한스 번젤(Joseph H. Bunzel)이다. 안무가인 아내와 함께 1948년 춤의 의학적 효능에 대한 논문을 미국체육협회(Americ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Journal of health & physical education)에 냈다.


춤 가운데 '아르헨티나 탱고'(이하 탱고)는 파킨슨병 등의 신경학적인 증상 회복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미국 워싱턴대학 연구팀의 보고가 나오기도 했다.

@News1

최근에는 한국 국내에서도 탱고의 의학적 효능에 대한 논문이 처음으로 나왔다.

제주한라병원(병원장 김성수) 연구팀(알레르기·임상면역학센터 노건웅 센터장, 메디컬 탱고 고영순 대표)은 국제학술지 '임상 리뷰 및 케이스 리포트'(Journal of Clinical Review & Case Report) 최신호에서 탱고 춤이 파킨슨병 등의 신경학적 질환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탱고는 파킨슨병,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척수손상, 외상성 뇌손상, 헌팅턴씨병 등 질환에서 비롯되는 보행과 신체 균형유지 어려움, 활동성 장애 등을 극복하는 데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노인의 경우 탱고 춤을 꾸준히 추면 허벅지 안쪽 근육을 발달시켜 보행 문제점을 개선한다는 보고도 있다. 또 골반 아래 근육이 발달해 기능성 요실금 개선에 효과적이며 우울증과 당뇨병, 비만 등 질환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는 논문도 있다.


지금까지 나온 여러 논문을 종합적으로 보면, 이런 탱고 치료는 1주에 2, 한 번에 90, 중간 정도의 강도로 12주 동안 계속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연구팀은 이런 효과를 널리 알리기 위해 오는 12 15일 제주한라병원에서 국내 첫 '탱고 테라피' 세미나를 열 예정이다.


노인에게 댄스 훈련이 기존의 신체운동(피트니스)보다 노화를 막는 데 더 낫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이 자이브, 차차차, 라틴댄스 등 사교댄스가 조현병 환자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보고를 내놓은 바 있다. 정신분열 증세가 있는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1주일에 한 차례씩 8주 동안 댄스 치료를 한 결과, 환자들의 굳어있던 표정이 밝아지고 정서적 위축 증세와 우울증 증세가 상당히 개선됐다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