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슬로

@News1

 


오슬로


2018.10.12~2018.11.04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


2017년 토니 어워드 작품상 등 주요상을 휩쓸며 새로운 고전의 탄생을 선포한 최고의 화제작 <오슬로>가 아시아 최초로 국립극단 무대에서 한국 관객을 만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속도감 있는 서사에 블랙 유머를 적절하게 녹여낸 이 영리한 희곡은 국립극단 예술감독 이성열의 섬세한 연출이 더해져 단숨에 객석을 사로잡는다. 여기에 열정적인 사회학자라르센역에 손상규, 그의 부인이자 매력적인 외교관모나역에 전미도 등 최고의 배우들이 함께해 무대를 빛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