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월의 한국은 한폭의 채색화다.

@뉴스원

 


전국 어디나 울긋불긋 단풍으로 물들었다. 전국 유명산과 축제장은 나들이 인파로 북적였다.


고운 단풍이 산을 뒤덮은 전북 내장산 국립공원에는 주말마다 수만 명의 등산객이 몰렸다.형형색색의 화려한 등산복을 입은 이들은 오색빛깔 단풍과 어울려 어떤 화가의 붓도 표현하기 힘든 장관을 이뤘다.


내장산을 찾은 관광객 박모(42)씨는 "가족과 함께 막바지 가을을 즐기려고 서둘러 내장산에 왔다" "단풍으로 붉게 물든 산이 경이롭고 아름답다" 말했다.


'아기단풍'으로 유명한 순창 강천산 도립공원도 단풍놀이 인파로 북적였다. 강천산 단풍은 단풍잎이 마치 어린아이의 손바닥과 같이 작고 빛깔이 곱다고 아기단풍이라 불린다.


속리산 국립공원에도 등산객들이 몰려 천왕봉(해발 158) 문장대(해발 154) 등을 따라 곱게 물든 단풍을 감상했다.


'작은 금강산'으로 불리는 경기 동두천 소요산과 충북 월악산 국립공원에도 막바지 단풍을 즐기려는 등산객의 발길이 이어졌다.


아래까지 단풍이 물든 한라산을 찾은 관광객들은 능선이 한눈에 펼쳐지는 1·2산록도로와 5·16도로에서 기념사진을 찍었다.


대신 축제장과 유명 관광지를 찾은 나들이객들도 가족이나 연인과 함께 휴일을 즐겼다.


대구에서는 '2018 대구 국제어린이마라톤' 열려 참가자들이 단풍나무가 물든 거리를 달리며 땀을 쏟아냈다.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 세이브더칠드런, 대구시가 공동주최하고 연합뉴스TV 후원하는 이번 대회에는 아동을 동반한 가족 단위 참가자 250명이 찾았다.


간단한 몸풀기를 끝낸 참가자들은 '힘차게 달려요' '느긋하게 달려요' 그룹으로 나눠 두류공원 주변 4 달렸다.


이달 11일까지 양미리 축제가 열리는 속초항 일대에서는 관광객 등이 제철을 맞아 오동통하게 살이 오른 양미리의 고소한 맛에 빠졌다.


52 처용문화제가 열린 울산 남구문화원 광장에서는 5 · 주민이 준비한 '처용 놀이마당' 펼쳐졌고, 울산민속예술경연대회 다채로운 전통 민속놀이도 선보여 시민들의 눈길을 끌었다.


경기 파주 감악산 출렁다리에는 이날 정오까지 관광객 5천여명이, 마장호수 흔들다리에는 4500여명이 찾아 휴일 한때를 즐겼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