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영재 청소년 동원해 AI 킬러로봇 만든다…베이징공대 프로그램 신설

사진 출처: 뉴시스

 

중국이 영재 청소년들을 동원해 인공지능(AI) 무기개발에 나섰다.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최상위 공과대학인 베이징공대(BIT)는 최근 AI 무기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신설해 신입생 31명을 선발했다.

 

4년 과정의 프로그램에는 5000여명의 청소년이 지원했으며, 이 가운데 남성 27명 여성 4명이 선발됐다. 모두 18세 이하 청소년이다.

 

중국 최고의 공대인 BITAI 무기개발을 위한 과정을 신설했다는 것은 중국이 AI 기술을 무기개발에 활용하는 것을 중시한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첫 입학생 선발 과정에 참여한 BIT 교수는 "이 아이들은 아주 똑똑하다. 그러나 똑똑한 것이 다가 아니다""우리는 창의적 사고, 싸우려는 의지, 도전과제를 대하는 인내심 등의 여러 자질을 봤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무기를 개발하려는 열정은 필수이며 모두 애국자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선발된 학생에게는 각각 과학적 지식을 갖춘 사람 1명과 방위산업 출신자 1명 등 총 2명의 멘토가 붙어 학업을 도울 예정이다. 학생들은 첫 학기를 마치면, 기계 엔지니어링, 전기, 무기 디자인 등 세분화된 전공분야를 선택하며, 이후 관련 방위 연구소에 배치된다. 그곳에서 이들은 실무경험을 통해 관련 기술을 연마한다.

 

중국 동부 산동지역 출신의 한 합격생은 어렸을 때부터 총과 무기에 큰 관심을 가져, 관련 서적을 탐독했다고 말했다.

 

그는 BIT 면접을 보는 날 중국 명문 대학인 칭화대학교 입학 면접이 있었지만, 자신은 BIT를 선택했다고 했다. "베이징에 도착했을 때, BIT 면접을 갈지 칭화대 면접을 갈지 고민하며 기차역에서 오랜 시간 서성였지만, 나는 BIT를 선택했다. BIT의 매력에 도저히 저항할 수 없었다"라고 말했다.

 

BIT는 지난달 28일 중국 최대 방산업체인 노린코(NORINCO) 본사에서 이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했다. 선발될 학생들 대표는 "우리는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길을 가고 있다"라고 밝혔다.

 

BIT는 이 학생들이 4년 과정을 마친 후 박사과정에 들어갈 수 있으며, 중국 AI 무기 프로그램의 차세대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미국의 사이버 기술 전문가인 엘리오너 포월스는 "이 프로그램은 차세대들에게 공격적이고 전략적으로 AI 기술을 군사연구에 활용에 배치하는 세계 최초의 대학 프로그램"이라며 우려했다.

 

포월스는 미국도 국방부 연구기관인 미국방위고등연구국(DARPA)과 같은 유사한 프로그램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기관은 엄선된 저명 과학자들이 투입하지만, BIT는 학생들에게 AI 무기 개발을 훈련시키는데 더욱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며 우려했다.

 

UC버클리의 컴퓨터공학 교수인 스튜어트 러셀도 BIT 프로그램에 대해 "아주 나쁜 아이디어"라며 "그런 무기 개발은 대량 살상 무기 개발을 초래할 것이며, 전쟁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에게 '학살 로봇'(Slaughterobots)이라는 영화를 보라고 촉구했다. 7분 분량의 이 영화는 초소형 AI 드론이 안면인식 기술을 이용해 인간을 학살하는 내용으로, 지난해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군축회의에서 상영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