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디자이너들의 교류의 장 서울디자인페스티벌 2018


@서울디자인페스티벌

 

2002년 처음 개막한 디자인 전문 전시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 올해로 17회를 맞는다.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은 디자이너 프로모션을 모토로 디자이너, 디자인 브랜드, 기업들과 함께 국내외 디자인의 동향을 선보이고, 국내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기획된 행사로 한국 디자이너들의 세계 진출을 돕고 세계 디자이너들을 국내에 소개하는 교류의 장으로 역할 해 왔다. 세계를 향한 디자이너들의 디딤돌이자 대한민국을 기반으로 아시아 무대로 진출하고자 하는 글로벌 디자이너의 축제로 성장하고 있다. 부대행사로 글로벌 스타디자이너들을 만날 수 있는 디자인 세미나와 서울의 디자인 관광자원을 활용하여 디자인 트렌드 발굴과 디자인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장외 전시, 서울디자인스팟이 함께 진행된다.

지난 16년 동안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는 총 1,319개 브랜드가 성공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했고 3,690여명의 디자이너를 배출하였다. 특히 누적 관람객은 93만 여명으로 많은 관람객이 전시 현장을 찾아 대한민국 디자인 산업을 선도하는 전시임을 입증했다.

올해 전시 주제는 영 레트로(YOUNG RETRO), 미래로 후진하는 디자인으로 현재와 미래, 과거로부터 영감을 얻은 디자인의 모든 것들이 한 자리에 전시된다. 단순한 추억의 과거가 아닌 새로운 경험으로서의 과거를 즐기는 최근 트렌드 디자인 콘텐츠를 구경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소품, 리빙공간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180여개 브랜드와 600여명 디자이너가 참여할 예정이다.

2018.12.12.()~2018.12.16.()

@ 코엑스 B

http://seoul.designfestival.co.kr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