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웨이 CFO, 미국 요청으로 캐나다서 체포

사진 출처:DW뉴스

 

중국 최대의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의 최고재무책임자(CFO) 멍완저우(46)가 미국 정부의 요청으로 캐나다 당국에 체포됐다. 중국이 강력 반발하고 나서면서 지난 1일 미-중 정상이 합의한 휴전도 위태로와졌다.

 

캐나다 <글로브앤드메일>5일 이언 맥리어드 캐나다 법무부 대변인을 인용해 멍완저우가 1일 밴쿠버에서 체포됐다고 전했다. 맥리어드 대변인은 미국이 신병 인도를 요구하고 있으며, 금요일(7) 보석 심리가 예정돼있다면서, 멍완저우의 요청에 따라 그밖의 사항은 공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화웨이는 혐의와 관련해 거의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어떤 혐의를 적용받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 신문은 소식통을 인용해 멍완저우가 미국의 대이란 제재를 피해 교역을 시도한 혐의로 체포됐다고 전했다. 지난 4<월스트리트저널>은 뉴욕 검찰이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화웨이를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같은 달 미국 정부는 대북한·대이란 제재 혐의로 중국의 또다른 통신장비업체 중싱(ZTE)7년 동안 미국 기업과 거래를 금지시키는 제재 조처를 내렸다. 미국 기업의 핵심 부품 공급이 끊기면서 위기에 내몰렸던 중싱은, 벌금 납부와 경영진 교체, 미국 지정 감시인 설치 등을 수용한 뒤에야 제재가 풀렸다.

 

미국이 화웨이 창업자의 딸이기도 한 멍완저우를 정조준하면서 미-중 간에는 앞으로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1972년생인 멍완저우는 화웨이 창업자 런정페이 회장이 전처와 낳은 딸로, 부모 이혼 뒤 어머니 멍쥔성의 성을 따랐다. 1993년 화웨이에 입사해 국제회계, 홍콩 지사, 재무관리, 융자·자금관리 부문 등을 거쳐 2011년 최고재무책임자에, 지난 3월엔 이사회 부의장에 각각 올라 대표적인 청년 기업인으로 불려왔다.

 

민영기업인 화웨이는 1987년 전화교환시스템 제조사로 창업한 이래, 각종 통신장비 사업을 성공시켜 올해 포브스 선정 500대 기업 가운데 72위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시장 최대 판매를 기록하는 휴대전화가 세계 각국에 수출되면서, 중국인들의 자존심이자 대표적인 중국 첨단기업으로 떠올랐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0월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이폰을 감청한다는 의혹과 관련해, “아이폰 감청이 걱정된다면 화웨이 스마트폰을 쓰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미국 등 서구권은 화웨이 통신장비에 대한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영국의 주요 통신사 브리티시텔레콤(BT)55세대(5G)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에서 화웨이를 제외한다며, 3G, 4G에서 사용된 관련 장비도 교체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는 화웨이 5G 장비를 금지시켰으며, 지난주 뉴질랜드도 통신 안보 위험을 이유로 금지 조처를 내렸다. 미국이 일본, 이탈리아, 독일, 영국 등 동맹국에 화웨이 장비를 쓰지 말라고 요구했다는 언론 보도도 나온 바 있다. 미국은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이 미국 시장에 진입하려고 할 때마다 안보 우려 등 각종 기준을 앞세워 이를 차단시켜 왔다.

 

멍완저우 체포와 관련해 중국은 강력히 항의했다. 주캐나다 중국 대사관은 성명을 내어, “캐나다가 어떤 미국 및 캐나다 법률도 위반하지 않은 중국 시민을 미국의 요청에 따라 체포했다. 중국은 피해자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한 이같은 행위에 결연히 반대하며 강력 항의한다며 멍완저우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했다.

 

멍완저우 체포가 최근 들어 순항하던 중-캐나다 관계에 먹구름을 드리우게 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2015년 쥐스탱 트뤼도 총리 취임 이래 캐나다는 전임 보수 정권과 달리 중국과의 경제·무역 협력을 강화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데이비드 멀로니 전 주중국 캐나다 대사는 멍완저우의 체포는 캐나다가 트럼프에게 머리를 숙인 것으로 비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