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无为的宫殿——昌德宫


       之前的朝鲜王喜爱的法宫昌德宫,坐落于北汉山脚下,与自然融为一体。建于1405年的昌德宫,原是景福宫的离宫,完全按照自然的地形设计而成,宫内宫外的森林相互呼应。

 

宫殿的代表性空间仁政殿。像国王的登基典礼、大臣们的贺礼等,进行国家的重要活动。

 

笔者 淸露 图片摘自 文化财厅

 

       大自然一样的宫殿,就是朝鲜君王们使用时间最长的昌德宫。提起王室的宫殿,不仅是中国人,大部分韩国人都会想起紫禁城。那是天下皇帝的城堡,当数第一。以轴线为中心的对称结构、被高高的宫墙所包围的禁地,那威严和神秘的地方,正是一般人心中宫殿的样子。
       但是,昌德宫却不同。位于首尔钟路区卧龙洞北汉山膺峰山脚下的昌德宫,是一个与自然完美结合的宫殿,它并没有将自然关在九重城阙的高墙里。昌德宫建于1405年(太宗五年),原是景福宫的离宫,昌德宫的殿阁完全按照自然地形设计而成,宫里的森林和宫外的森林相互呼应。因此,宫里的建筑物既小又不规则。并且,地面本身是高低不平的,建筑物也都是以非对称形式布局的。使用木材建造的建筑可谓是另一种意义上的树、森林。

 

王室的中心庭园芙蓉池和拥有王室直属图书馆奎章阁的宙合楼。


       顺应自然的无为的宫殿,住在那里的人们,与其说是王族,不如说是仙人。其实,这里隐藏着朝鲜的统治哲学。国王与百姓融为一体,并让百姓感到快乐。并不是统治他们,而是相互配合,理解百姓就是朝鲜统治哲学的基本命题。因此,昌德宫比起权威和威严,更让人感到亲近和温暖。实际上,昌德宫的后苑被称为“秘苑”。

       秘苑是一个位于膺峰山脚下的以美丽而闻名的庭院。湖水和殿阁、树木和谐统一。虽然没有特别的打理,但是打理得最好的庭院就是秘苑。我们将这种打理庭院的方式称为“借景”,具有借用自然的意思。根据记载,朝鲜王朝时期后苑的各处都有100多个楼阁和亭子,现在只剩下18个楼阁和22个亭子。
       后苑分为四个区域。第一个是翻过门口的山坡便可到达的芙蓉池一带,是一个在四方形的大莲池周围建有芙蓉亭、鱼水门和宙合楼、暎花堂的地方。第二个是从芙蓉池往北绕着一个山脚走即可见到的爱莲池一带。寄傲轩、爱莲亭、演庆堂坐落在这个地方。第三个是半岛池区域,像扇面形建筑观缆亭、亭檐呈两重的尊德亭、砭愚榭等都聚集在这个地方。第四个区域就是位于后苑最深处的玉流川地区,这个地方不仅有五个亭子,还有玉流川和瀑布。

 

肃宗时期建造的小规模亭子“清心亭”和在石龟背上建造的小莲花池“氷玉池”。

 

       当然,朝鲜也有威严的宫殿。那就是景福宫,是朝鲜王朝成立之后建造的第一号宫殿。它是完全按照中国古代建筑的中轴对称原则建造的。但是,太宗却认为景福宫的风水不好。因此建造了具有自然风貌的昌德宫。

       这样的昌德宫深得朝鲜国王的喜爱。1592年,由于壬辰倭乱(日本的朝鲜侵略战争)所有的宫殿被烧毁,朝鲜的国王首先修复了昌德宫。到了朝鲜末期,高宗的父亲兴宣大院君修复了景福宫,之后高宗才开始使用它,但是之前的朝鲜国王都是在昌德宫居住的。长期以来,昌德宫起了朝鲜法宫作用。
       昌德宫的主要建筑物好似没有规则,但又遵循规范。只是规则看不见而已。它彻底地分开了包括后苑在内的王族内殿和外殿。从昌德宫正门敦化门开始的外殿到后苑,那里的建筑物依次是发表政策的地点、讨论政策的地点、王的休息空间、王妃的住处等。将建筑物连接到隐秘的空间。

 

东阙图是在1826年至1830年左右,将位于景福宫东边的昌德宫和昌庆宫,以俯视图的形式制作的地图。


       首先,敦化门是个两层亭楼式的美丽建筑,在朝鲜的木质门中规模最大。走过美丽的桥梁和宫门,便会到达国王处理国事的仁政殿,也就是举行朝鲜国王登基典礼的地方。接下来就是宣政殿,是朝鲜国王会见大臣商讨、处理日常朝廷政务的地点。在整个宫殿中唯有这里使用了青色琉璃瓦,象征着王权和威严。议论国家大事的地方转移到熙政堂后,宣政殿被使用为安放已过世的国王和王妃牌位的地方。
熙政堂是一座位于宣政殿东边的建筑,起初被使用为国王寝殿。原来的熙政堂是一个建造在几个石柱上面的建筑,周围有池塘,非常优美。但是,被日本人修整后丧失了本来的面貌。

       熙政堂的后面就是与外部彻底断绝的空间——大造殿。是朝鲜国王和王妃的寝殿,也是教育王子和公主的地方。以中间的地板为中心,国王使用了左边的房间,王妃使用了右边的房间。1910年,在大造殿召开了最后的御前会议。就是在这个御前会议中做了“韩日合并”的决定,就这样519年的朝鲜历史落下帷幕。

 

位于昌德宫后苑北部深谷的小溪“玉流川”。


昌德宫之行
H 宫殿 09:00~18:00(2~5月, 中文解说 10:00 16:00)
   后苑 10:00~17:30(3~5月, 中文解说 12:30)
L 首尔市钟路区栗谷路99号
W www.cdg.go.kr
T +82-2-3668-2300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