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정현, 호주오픈 2회전서 에르베르에 패배, 32강 좌절

@뉴스원

 

한국 테니스의 간판 정현(세계랭킹 25·한국체대)이 피에르-위그 에르베르(55·프랑스)에 패하면서 호주오픈을 마감했다. 정현은 17(한국시간) 호주 멜버른의 멜버른 아레나에서 열린 에르베르와의 2019 호주오픈 남자단식 2회전에서 세트 스코어 1-3으로 패했다. 정현은 지난해 4강까지 오르며 이변의 주인공이 됐지만 이번 대회에는 2회전에서 탈락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이날 정현은 서브 에이스에서 2-13으로 크게 밀리며 고전한 끝에 패했다. 정현은 2015년 윔블던에서 에르베르에 패한 뒤 또 한번 승리를 내줬다.

정현은 첫세트에 에르베르의 강한 서브에 이은 네트 플레이에 고전했다. 자신의 첫 서비스 게임부터 브레이크를 당하면서 0-2로 밀린 채 시작했고 마지막 게임도 놓치면서 2-6으로 1세트를 내줬다. 2세트는 에르베르의 서비스 게임으로 시작했는데 경기는 곧바로 우천으로 경기 중단됐다. 잠시 휴식을 취한 정현은 재정비를 마친 뒤 에르베르를 몰아붙였다. 스트로크 플레이에서의 우위를 앞세워 반격에 나선 정현은 첫 게임부터 브레이크에 성공하며 기선제압에 성공했다. 이후에도 두 차례 상대 서비스 게임을 더 빼앗으며 승리했다.

하지만 3세트에 다시 분위기를 내줬다. 정현은 유니폼을 갈아 입고 전열을 가다듬었지만 2-2로 맞선 5번째 자신의 게임을 지키지 못하면서 패색이 짙어졌다. 지친 기색을 보인 정현은 4-5에서 10번째 게임을 잡지 못하고 패했다.

경기 후 정현은 대한테니스협회를 통해 "1회전과 마찬가지로 많은 분들이 찾아왔다.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해 죄송하다. 앞으로 나은 모습을 보이도록 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