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한 FTA 후속협상 진전 거둬…'최초 네거티브 리스트 방식 도입 눈길'

2일 중국 상무부는 “지난달 29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한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제4차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에서 안정적인 진전을 거뒀다”면서 “(이번 협상은) 중국이 최초로 네거티브 리스트 방식을 도입한 협상”이라고 전했다.

 

중•한 FTA는 지난 2015년 12월 정식으로 발효됐다. 이후 2017년 12월 양국은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을 개시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본격적인 2단계 협상에 돌입한 바 있다.

 

상무부는 “중•한 양국은 적극적으로 2단계 협상을 추진하면서 양국 기업에 더 자유롭고 편리한 서비스 무역 및 투자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상은 중국이 처음으로 네거티브 리스트 방식을 도입해 FTA 서비스•투자 추가협상을 진행해 주목을 받았다. 네거티브 리스트 방식이란 원칙적으로 수입을 자유화하고 예외적인 수입 금지•제한 품목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밍(白明) 상무부연구원 국제시장연구소 부소장은 “중•한 FTA 협상에서 네거티브 리스트 방식이 도입된 것은 조건이 갖춰져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었다”며 “중국 네거티브 리스트 제도 추진에 기초를 다지는 계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중국 네거티브 리스트 제도는 국제 기준에 한층 더 가까워질 것을 기대한다”며 “향후 다른 국가와의 FTA 협상과 더불어 중국 네거티브 리스트 제도 구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한 양국은 경제•무역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자 수출시장, 수입국으로 자리 잡았으며, 한국은 중국의 3대 교역국이 되었다. 중•한 FTA 발효 이후 양국은 이미 네 차례에 걸쳐 관세를 삭감했는데 현재 양국의 무관세 상품 무역액은 전체의 50%에 달하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은 이번 중•한 FTA 후속협상을 앞두고 지난달 25~28일까지 노르웨이와 베이징에서 FTA 제14차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양국은 화물, 서비스•투자, 원산지규정, 지식재산권 등 10여 개 의제를 두고 논의했고, 협상에서 적극적인 진전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중국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상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은 25개 국가 및 지역과 17건의 FTA를 체결했고, 다자간 경제무역 협력을 강화하는 중에 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