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 고등학교도 대미 무역전쟁으로 속앓이

中유학생 영국 등으로 발길 돌려…美고교 재정 압박 심해질 듯

중미 무역전쟁 여파로 미국 고등학교가 홍역을 앓고 있다. 중국 학생들이 영국과 호주 등지로 발길을 돌리면서 미국 고등학교는 재정을 걱정하는 처지다.

 

 

8일 AFP통신에 따르며 미국 고교로 진학하는 해외 유학생의 3분의 1 가까이를 차지하며   미국 경제에 100억달러 이상을 지출하는 중국 학생 수가,  지난 3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은 비자 지연과 과학연구에서 밀려나는 위험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중국 학생들로 하여금 미국 유학을 단념하게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한 유명 민영 교육기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로 인해 가장 큰 수혜는 영국, 호주 그리고 캐나다와 같은 다른 교육 강국들이다. 또한 일본과 한국,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유학 신청도 늘었다.

 

이것은 미국 고교가 양질의 중국인 유학생을 잃고, 막대한 재원을 잃었다는 뜻이다.

 

이 같은 매미 효과는 지난해 트럼프 행정부가 과학기술 분야 유학생의 비자 유효기간 5년을 1년으로 축소하면서 시작됐다고 통신은 전했다. 미 국무부는 심사 강화가 안전상의 이유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미국 국제 교육자 협회 조사결과, 중국 학생들은 2018년에만 미국 경제에 130억달러를 기여했는데, 이 숫자에는 학비와 생활비가 포함된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