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황란유치원 원아 성추행, 원어민 교사 체포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됐지만 2017년 아동학대 사건 ‘오명’

칭다오(青島)시 홍황란(红黄蓝)유치원에서 여아를 성추행한 혐의로 콜롬비아 출신 원어민 강사가 체포됐다.

산둥(山東) 칭다오 시 시북구 검찰은 25일 홍황란유치원에서 원아를 성추행한 콜롬비아계 원어민 강사를 체포했다고 밝혔다.

 

산둥 언론 '지루만보'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홍황란 원어민 강사가 학생들의 점심시간동안 다른 교사 없을 때 한 여아를 성추행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여아부모가 곧바로 공안기관에 신고했고, 공안기관의 조사를 거쳐 현지 검찰은 원어민 강사가 학교 안전관리 규정을 지키지 않은 점과 유치원이 안전관리에 허점이 있다고 보고 그를 체포했다.

 

이에 대해 홍황란은 유치원 관계자가 지난 1월28일 학부모로부터 상황을 보고받은 후, 곧바로 학부모를 동반해 모니터를 살펴보고, 해당 원어민 교사와 상황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위법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학부모와 함께 신고했다.

 

이 원어민 강사는 콜롬비아 국적이며, 1984년생이고 정식 근무 비자를 소지하고 있다.

당시 촬영된 CCTV에 따르면 이 원어민 강사는 1월25일 오후 2시쯤 배석교사가 화장실에 들어가는 동안, 반에 들어가 유아 이불 속에 손을 얹은 채 약 1분 동안 있었어, 배석교사가 반에 들어온 후, 일어나서 교실을 떠났다.

 

유치원 규정은 원어민 강사는 유아와 단독으로 접촉할 수 없으며, 보육 돌봄 등에 참여할 수도 없다. 이 유치원의 부실 관리에 대해 홍황란은 유치원 원장과 배석 교사를 해임했다.

 

베이징에서 1998년 설립된 홍황란은 2017년 9월 27일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같은해 11월22일 베이징 차오양구(朝阳区) 훙황란유치원에서 아동학대 사실이 드러나면서 비판이 고조됐다. 결국 교사 유모씨에게 1년 6개월의 징역, 또한 형기를 마친 후 5년 동안 미성년자 교육과 관련된 일을 할 수 없도록 판결이 내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