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하이 코스트코를 보라!

트럼프 멀쑥하게 만든 코스트코

“상하이 코스트코를 봐라!”

중국 관영 환추스바오가 28일 사설을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코스트코는 지난 27일 상하이에 중국 첫 매장을 열었다.

환추스바오의 사설은 앞서 “미국 기업들은 중국을 떠나라”라고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비꼬는 것이다.

환추스바오의 사설 제목은 ‘코스트코가 상하이 개점이 크게 성공했다. 미국 측에 다시 한 번 교훈을 주고 있다’이다.

사설에서 신문은 “상하이 시민들이 코스트 개점에 맞춰 길게 줄을 섰다”며 “이 같은 흥행성공은 미 기업은 중국을 떠나라고 한 미 대통령에게 ‘발로 하는 투표’가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발로하는 투표는 티부가설에서 나오는 말이다. 주민들이 지역 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방공공재에 대한 주민들의 선호가 표시되면 따라서 지방공공재 공급의 적정규모가 결정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즉 주민들이 자기가 좋아하는 지방으로 이동을 할 수 있다는 전제다.

환추스바오는 이 표현을 통해 미 기업들이 미중 무역전에서 어느 나라를 선택했는지 보여준다고 주장한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