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에 아시아 20대 부자가족 6가족이 산다

곽씨 가문 380억달러로 2위…부동산으로 부(富) 일궈

아시아 지역 상위 20대 부자 가문의 재산 총액이 4500억달러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시아 최고 부자는 인도에 있지만 20명 중 6명이 홍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10일 알리바바그룹 마윈의 재산 같은 단일 상속인이 장악한 부를 제외한 가족 부인 '부자 1 세대'를 보도했다. 그래서 이 명단에는 중국 본토 사는 사람이 없다. 하지만 이들 아시아 최고 부유층은 태국의 셰라반온트(Chearavanont), 인도네시아의 하토노(Hartono) 등 중국계 혈통이 많다.

 

이들의 재산 가운데 눈에 띄는 점은 부동산이다. 부자들 상당수는 부동산을 개발하든, 아니면 10억달러의 가치가 있는 부동산업을 소유하고 있다.。

 

빚이 없으면 부자라는 속담은 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에서도 나타난다. 일부 부호들은 지난 몇 년간의 신용 대출의 긴장으로 곤경에 처해 있는 반면, 대부분의 가문은 많은 면에서 어려움을 면하고 있다. 블룸버그의 가족 순위는 이러한 부채를 계상(計上·계산하여 올림)했다.

 

1위는 인도의 리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Reliance Industries)로, 재산이 504억달러에 달했다다. 무카이시(Mukesh)와 아닐(Anil)의 아버지 디루바이 암바니(Dhirubhai Ambani)가 창립했다. 디루바이는 2002년 사망하면서 유언을 하지 않았지만 미망인은 아들들에게 재산을 물려줬다. 현재 무카이시는 세계 최대의 정유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뭄바이에 본사를 둔 기업집단을 관장하고 있다.

 

2위는 홍콩 '신훙기자산(Sun Hung Ka Properties)'의 곽씨 가문으로 380억달러의 재산을 갖고 있다. 곽득승은 1972년 신홍기자산을 창업했다. 현재 이 회사는 홍콩에서 가장 큰 부동산 개발업체 중 하나로, 곽씨 가문의 부의 근간이다. 1990년 곽득승이 세상을 떠나자 아들 곽병상(Walter), 곽병강(Thomas)과 곽병련(Raymond)이 회사를 맡았다.

 

또 홍콩에서 유래한 부자는 185억달러로 10위를 차지한 중전그룹(中电集团), 12위 주대복(周大福)은 182억달러, 14위는 포씨 가문이다. 유니버셜운항그룹과 회덕풍회사(会德丰公司)를 보유하고 재산은 167억달러에 달한다. 17위는 마카오 도박왕 허훙차오(何鸿燊)로, 재산은 147억달러이며 아오보홀딩스(澳博控股) 보유하고 있다. 이금기(李锦记)는 19위에 올랐고, 부는 147억달러로 집계됐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