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세계 3위 금융허브...중국 10위권에 4개 도시 올려. 상하이(5위), 베이징(7위) 등

1위는 뉴욕, 2위 런던…베이징은 7위

세계 1위 금융허브는 뉴욕으로 조사됐다. 런던이 2위, 홍콩이 3위에 올랐다.

중국은 10위권에 무려 4개 도시를 올렸다.상하이가 5위, 베이징이 7위에 랭크됐다. 선전은 9위에 기록됐다.  한국은 10위 권에 한 도시도 올리지 못했다.

 

영국 싱크탱크인 Z/Yen그룹이 중국(선전)종합개발연구원과 공동으로 작성한 26기 '글로벌 금융허브지수'(GFCI 26) 보고서가 19일 런던과 선전에서 동시에 발표됐다.

 

20일 종합미디어에 따르면 GFCI는 100개 금융센터가 리스트에 올라 있으며 이 중 글로벌 톱10 금융센터 순위는 뉴욕, 런던, 홍콩, 싱가포르, 상하이, 도쿄, 베이징, 두바이, 선전, 시드니다.

 

최고 권위의 글로벌 금융허브 순위지표로 꼽히는 GFCI는 2007년부터 싱크탱크인 Z/Yen그룹이 런던 파이낸셜시티의 의뢰를 받아 작성했다. 이 지수는 글로벌 주요 금융허브를 비즈니스 환경, 인적 자원, 인프라, 발전 수준, 국제적 명성 등에서 평가해 순위를 매겨 이번 호에 104개 금융센터가 포함됐다.

 

뉴욕, 런던, 홍콩은 여전히 3위 안에 들지만 평점이 전편에 비해 모두 낮아져 런던은 14점, 홍콩은 12점 떨어져 1위인 뉴욕과의 점수 차가 다시 벌어졌다.

 

상하이와 싱가포르의 채점 격차는 전기의 2점에서 당기의 1점으로 좁혀졌고, 상하이는 상위 4위 금융허브와의 격차도 더욱 좁혀지고 있다.

 

베이징, 선전은 전 분기보다 각각 2위와 5계단 상승한 7위와 9위를 기록했다. 이 중 선전은 전분기보다 9점 오른 739점을 기록, 8위 두바이에 1점 차로 다가섰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