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3분기 경제 상황 악화...수출 감소 외 판매가격 상승 속도 둔화가 주목돼.

대출 늘고 부동산 등 실물 경기는 계속 안 좋아

 

 

중국의 올 3분기(7~9월) 경제 상황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무역전의 여파가 갈수록 커지는 탓으로 풀이된다. 현재 양국은 서로 조금도 양보하지 않으면서 무역전 타결을 위한 협상 역시 냉온탕을 오가고 있다.

 

특히 3분기 악화에는 수출 감소 외 판매가격의 상승 속도 둔화가 주목됐다.

 

26일 중국 당국의 보고서(China Beige Book)에 따르면 중국의 3분기 경기는 올 들어 가장 약하고, 대출은 늘었지만 제조업과 부동산, 서비스업은 계속 악화됐다. 제조업의 소득과 이익, 매출은 전 분기보다 두 자릿수 하락했다.

 

당국 보고서에서는 수치보다 추세가 더 주목됐다. 우선 현재의 경제 상황이 부진한 것은 주로 제조업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본적으로 미중 무역전에 따른 수출 감소가 한 요인이지만 하락은 주로 '판매가격 상승속도가 현저히 둔화된 것'에서 비롯됐다고 전문가들을 봤다. 판매 가격이 제대로 책정되지 못하면서 손실이 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이에 "산업 생산자 출고가격이 6월에 상승을 멈춘 후 7월과 8월에 하락하는 것은 기업 이익을 해치고 그 투자와 상환 능력을 제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서비스업은 부진을 계속하면서 소득과 이익은 모두 감소했다. 이 같은 추세가 4분기에 이어질 경우 올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6%를 지키기 힘들 수 있다고 중국 사회과학원은 경고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