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성인 5명 중 3명, 유튜버 꿈꾼다

반면 본업으로 삼겠다는 응답은 10%에 불과

대한민국 성인 5명 중 3명 이상이 유튜버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튜버는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자신이 만든 콘텐츠를 등록하고 광고 수익을 받는 영상 크리에이터들을 말한다.

 

21일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성인남녀 3천543명 중 63%(2천233명)가 '유튜버에 도전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70.7%로 가장 많았으며 2위 30대(60.1%), 3위 40대 (45.3%), 4위 50대 이상 (45.1%) 등으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65.2%)이 여성(61.0%)보다 많았다.

 

유튜버를 하고 싶은 이유로는 '관심 분야가 있어서'라는 응답이 48.1%(복수 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2위 재미있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서'(33.3%)와 3위 '미래가 유망할 것 같아서'(25.3%), 4위 '직장인 월급보다 많이 벌 수 있을 것 같아서'(22.2%) 등이 뒤를 이었다.

 

제작하고 싶은 영상 콘텐츠 분야로는 '일상'(31.1%)이 가장 많았으며 ‘게임'(13.9%)과 '먹방'(10.4%) 순으로 집계됐다.

 

유튜버를 본업으로 할 것인지를 묻는 문항에는 '도전 후 고민하겠다'는 응답이 31.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부업'(30.0%)과 '취미'(28.1%)로 병행하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본업으로 삼겠다는 응답은 10.0%에 불과했다.

 

한편 유튜버 희망자들이 기대하는 수입은 월평균 396만 원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