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은행 앱 하나로 모든 은행계좌 손쉽게 조회한다”

이달 11일부터 시범 운영 예정돼

 

 

다음주부터 자주 사용하는 은행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자기 이름으로 된 모든 은행계좌를 손쉽게 조회할 수 있게 된다.

 

금융결제원은 8일 은행권 계좌정보 일괄 조회 시스템인 계좌통합관리(어카운트 인포) 서비스를 일반 시중은행 뱅킹 앱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11일부터 농협, 신한, 우리, 기업, 국민, 하나, 전북 등 7개 시중은행이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며, 대구은행은 이달 29일, 나머지 은행은 내달 17일부터 서비스가 제공될 계획이다.

 

‘계좌통합관리 서비스’란 인터넷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 등에서 본인 계좌 현황을 한눈에 조회 할 수 있는 서비스로, 2016년 말 처음 시행됐다. 별도로 계좌통합관리 앱을 설치하거나 홈페이지를 방문할 필요 없이, 기존에 자주 사용하는 은행 뱅킹 앱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금융결제원 측은 “일반 은행 앱에서 계좌통합관리 서비스가 제공되면, 최근 시범운영을 시작한 ‘오픈뱅킹’의 이용도 한층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30일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간 오픈뱅킹은, 은행 앱 하나만으로 다른 은행 계좌의 조회·이체 업무까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러나 타 은행의 계좌를 등록할 때 자동조회가 이뤄지지 않고 계좌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해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는 지적이 제시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