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유니클로, ‘히트텍 무료 제공’ 행사 열어…”누리꾼 의견 대립”

"자존심 상해" vs "개인 자유"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른 일본상품 불매운동의 중심에 선 ‘유니클로’가 인기상품 '히트텍'을 무료로 제공하는 행사를 시작했다.

이에 한동안 한산했던 유니클로 매장이 붐빈다는 목격담이 올라오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선 한국 소비자에 실망했다는 반응과 개인의 구매 자유는 보장해야 한다는 두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유니클로는 15일부터 대표상품인 후리스와 캐시미어 스웨터, 다운 베스트 등을 1만~4만 원 할인해주는 '15주년 기념 겨울 감사제'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하게 하는 이벤트는, 오프라인 고객에게 구매 가격에 상관없이 히트텍을 총 10만장 선착순 증정하는 행사다.

 

패션업계의 분석에 따르면 유니클로의 파격 할인과 무료증정 행사는 이례적이며, 불매운동에 따른 매출 급감을 타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유니클로는 지난달 대표상품을 최대 50% 할인하는 15주년 감사 세일을 했는데도, 매출이 전년 대비 60% 넘게 급감한 바 있다. 이에 유니클로가 '무료 증정'이라는 전에 없던 행사를 시작했다는 것이다.

 

온라인에선 겨울 감사제가 시작된 지난 주말 유니클로 매장에, 사람들이 몰려 있는 상황을 전하는 글과 사진들이 올라왔다. SNS에선 이를 놓고 "자존심 상한다"는 반응과 "개인 선택"이라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네이버 카페 '레몬테라스'의 한 이용자는 "진짜 자존심 상한다. 대체품 없는 것도 아니고, 질도 초기보다 안 좋아졌는데 값이 올라도 많이 산다"는 글을 올렸다.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마감 시간에도 사람이 너무 많았다. 끔찍했다", "무료 히트텍이 다 떨어졌다는데 어처구니가 없다" 등 의 글을 올렸다.

 

반면 다른 의견들도 게재되고 있다. 한 이용자는 "개인 선택이다. 일본(상품을) 불매해야 한다면, 휴대전화도 쓰면 안 된다", "무의식중에 사 먹고, 쓰는 제품 중에 일본 것이 많다", "내가 불매를 하고 신념을 가질 순 있지만, 남이 하는 걸 비난할 수는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