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日 자유롭고 공정 무역 유지 발전시켜야”

주중 일본대사관 우에노 공사 세계문제연구센터 초청 강연

주중 일본대사관 우에노(植野) 공사가 21일 신화통신 세계문제연구센터 초청으로 ‘현재 중일 관계의 상황과 전망’이란 주제로 강연했다.

우에노 공사는 우선 일중 관계가 정상화로 돌아간 세 가지 요인을 분석했다. 첫번째는 일중 양국이 협력해야 상호 이익이 된다는 인식을 가져 있는 것. 두번째는 양국이 협력해 세계 평화와 공동의 이익에 기여해야 한다는 국제적인 요구가 강해져서 양국이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것. 셋번째는 일중 민간교류가 진전되어 정부의 관계개선이 강력히 추진되었다는 점.

우에노 공사는 “일중 관계 개선의 새 출발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이견 차이가 남아 있다. 그런데 일본과 중국은 영원한 이웃이라는 인식을 공유해야 하며 입장 차이 있는 점도 서로 양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양국은 서로 교류 많이 하고 상대방의 주장한 말을 잘 들어주며 갈등을 함께 풀어야 한다”고 말는 “일중 양국은 아시아 대국 및 세계 경제대국으로서 세계의 안정과 국가 간의 이익을 잘 보장해야한다”며 “자유무역체제가 끊임없이 도전받는 상황에서 양국이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체제를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하며 자유롭고 개방된 국제질서와 세계평화를 지킬 책임을 져야한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