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중 무역협상 타결 비관론 ‘솔솔’

서로 “양보하라” 치킨 게임…미 대선까지 진전 없을 듯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에 대한 비관론이 솔솔 제기되고 있다. 서로 “양보하라”고 치킨 게임으로 치달으면서 내년 미국 대통령 선거까지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앞서고 있다.

 

미국과 중국 관리, 의원 그리고 무역전문가는 미중 양국이 '첫 단계' 무역 협상 과정에서 좌절을 겪어, 더 깊은 '제2단계' 무역협상가 타결한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25일 "10월 트럼프과 중국 국무원 류허 부총리가 열린 기자회견에서 첫 단계 협상이 완결되면, 2단계 협상이 즉시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2단계에서 지적 재산권에서 초점을 둘 것이다"고 보도했다. 미국 측은 중국은 미국 기업들로 하여금 기술을 중국 경쟁자들에게 넘기도록 강요함으로써, 사실상 미국의 지적 재산권을 훔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한 소식통은 “2020년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첫 단계 협상 곤경, 그리고 미국이 다른 국가들과 함께 중국한테 압력을 가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 더 큰 진전이 이른 희망을 더욱 약해졌다”고 말했다.

 

무역 전문가와 백악관 소식통에 따르면 미중 첫 단계 무역협상은 2020년까지 최종으로 마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측은 미국에 압력을 가해 더 많은 관세를 취소하려고 요구했고, 트럼프 행정부도 중국 측에 더 많은 요구를 가했다.

 

한 중국 관리는 “미국 대선 전에 제2 단계 협상을 하지 않겠다”며 “부분적으로는 트럼프의 재선이 가능할지 지켜보는 것을 기다리고 싶어서”라고 말했다.

 

“협상을 체결하고 싶은 사람은 우리가 아니라 트럼프”라며 “우리는 기다릴 수 있다”고 한 중국 관리는 로이터 기자에게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