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중 일본ODA 2022년 철수

‘일중 우호 견고한 기틀 마련’

일본이 대중국 개발원조를 통해 40여년간 견고한 우호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이 일본 ODA는 2022년 중국에서 철수한다.

 

JICA 중국사무소 총대표자인 나카리 타이지(中里太治)는 "40년간의 다채로운 협력을 되돌아보며, 일중 우호의 견고한 기반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양국은 원조국으로서 더 많은 정보를 나눌 수 있을 것이며, 양국의 대외원조 시스템은 다르지만 구체적인 지원 항목에서의 경험을 많이 나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979년 중국에 대한 일본 정부 개발 원조(ODA)를 열고 중국 개혁 개방과 함께 40년을 지나갔다. 대 중국 ODA를 시작한 이유는 일본 정부가 중국을 믿을 뿐만 아니라 중국 개혁 개방에 도움이 되고 중일 양국이 가까운 것은 물론 전 세계 아시아의 번영 촉진과 안정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10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중국을 방문하는 기간 동안 중국이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발전하면서 일본 대 중국 ODA도 완료되었다고 발표했다. 대 중국 ODA 시행 기관인 국제 협력에 따르면 현재 6개 대중 ODA 프로젝트 남아 2022년은 전체 ODA를 중국에서 철수하겠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