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저축은행,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순이익 실적 기록해

대출 증가에 따른 이자이익 늘어

국내 저축은행들이 올해 3분기 기준 사상 최대 순이익 실적을 기록했다.

 

5일 금융감독원은 "올해 1∼3분기 저축은행 영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은 9천374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간(8천498억원) 대비 10.3%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이러한 순이익 증가는 총자산이 늘면서 대출을 적극 확대한 것으로, 주로 대출 증가에 따른 이자이익 확대가 배경이다.

 

9월 말 기준 국내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74조2천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4조7천억원(6.7%) 증가했다. 총대출액은 62조6천억원으로, 작년 말(3조4천억원)보다 5.8% 상승폭을 그렸다.

1∼3분기 이자이익은 3조3천11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천133억원)보다 6.9% 늘었다.

 

한편 전반적인 건전성 지표는 개선됐지만,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상승한 대목은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9월 말 총여신 연체율은 4.2%로, 작년 말 대비 0.1%포인트(p) 줄었다. 작년 3분기와 비교했을 때 0.4%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이 가운데 기업대출 연체율은 4.6%로, 작년 말보다 0.4%포인트 상승폭을 그렸다. 구체적으로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 4.0%에서 올해 9월 4.8%로 올랐다.

 

반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3.9%로, 지난해 말보다 0.7%포인트 줄었다.

9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5.1%로, 지난해 말과 동일했다. 이는 작년 9월과 비교해서 0.1%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NPL 비율은 낮을수록 여신 건전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08%로, 작년 말보다 0.75%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최근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잠재위험에 대비해, 저축은행의 영업과 건전성 현황을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특히 연체율이 상승 중인 개인사업자 대출과 취급액이 늘고 있는 가계신용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 강화를 지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