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0월 서울소비경기지수, 도심권 ‘호조’…나머지 ‘부진’

도심권 소비지수 전년대비 15.7% 늘어

6일 서울연구원은 서울의 5대 권역 중 도심권만 소비 호조를 보이고, 나머지 권역은 소비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서울연구원이 신한카드 매출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산출한 것으로, 10월 '서울소비경기지수' 분석에서 도심권의 소비경기지수는 지난해 동기간 대비 15.7% 늘었다.

 

반면 서남권은 8.0%, 동남권은 3.9%, 서북권은 2.9%, 동북권은 0.8% 하락해, 5개 권역 전체를 평균하면 지난해 동기간 대비 2.2% 하락세를 보였다.

 

소비별로는 서울 소매업 소비경기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4.8% 줄었다. 음식료품·담배는 9월 보합세(0.4% 증가)에서 벗어나 10월에는 큰 폭의 오름세(12.6% 증가)를 보였다.

 

한편 의복·섬유·신발은 지난해 동기 대비 줄었고(9월 -14.6% → 10월 -18.2%), 전제품·정보통신은 9월에 작년 동기대비 증가(2.2%)였던 것이 10월에는 감소(-7.7%)폭을 그렸다.

 

특히 올해 상승폭을 그렸던 무점포소매가 올 들어 처음으로 작년 동기 대비 감소로 돌아섰다.(9월 16.4% → 10월 -4.9%)

 

숙박·음식점업은 지난해 동기간 대비 1.6% 증가세를 보였다.

 

'카드매출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서울소비경기지수'의 자세한 내용은 서울연구원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는 국가승인통계는 아니며, 서울연구원의 연구자료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