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무역협상 중국이 더 절박”

수출 전년보다 감소…미국 시장 잃는 것 원치 않아

중국이 사면초과다. 수출이 지난해보다 감소했고, 세계 경기 침체 여파로 유렵과 일본 등 중국의 전통적인 무역 상대국들과의 교역도 감소세다. 이런 탓에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미국을 놓칠 수 없다. 문제는 미중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고 있는 점이다. 블룸버그는 중국이 무역협상에서 더 절박하다고 평했다. 중국이 협상 타결을 위해 꺼낼 카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세관총서는 8일에 “11월 수출은 2018년 동기 대비 1.1%를 하락해, 예장보다 훨씬 높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9일 “미중무역전 협상 앞길이 명랑하지 않은 가운데 중국이 대미 수술의 하락은 미국이 ‘홍콩법안’이 이미 결정되고, ‘신장법안’도 나오려는 이 시점에 중국은 무역협상을 중지한다는 징후가 없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외계가 예측한 11월 수출이 2018년 동기대비 0.8%를 성장하는 것은 미국과 유럽의 크리스마스 수요 고봉치이기 때문”이며 “또한 예외적 쇠퇴는 전 세계 경제 둔화가 유럽, 일본을 포함한 중국의 주요 무역파트너를 악영향을 주어, 미국시장을 상실한 것은 중국이 원 한지 않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블룸버그는 중국이 무역협상에서 더 절박한다고 평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 성장한 중국의 수입은 '수요 온화(需求温和)'로 해석됐다. 하지만 블룸버그 경제학자 데이비드 취(David Qu)는 “수출의 예외적인 쇠퇴와 최근 PMI(구매 관리자 지수)가 여전히 50의 확장선 이하에 있는 것으로 보면, 중국의 부진한 경제 상황은 결코 끝나지 않았다”고 해석했다. 블룸버그는 “수입 증가도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더 많이 사들였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래서 비록 미국이 일련의 인권의제에 관한 움직임을 보이고 중국을 반등시켰더라도, 미중 무역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징후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1단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미국은 15일 중국에 관세를 추가로 부과할 가능성이 높아 중국 수출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 공영방송 CNBC도 8일 “중국의 11월 수출이 4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미중 양국의 제조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지속적인 압력이 부각됐다”고 전했다. 그러나 수입 증가는 중국 정부의 부양책이 수요를 자극하고 있음을 보여준 한 징후일 수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