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발 관세전에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항로의 운임지수가 치솟고 있다. 최대 38% 가량 급등하기도 했다.
관세가 본격화하기 전에 미국으로 가는 물류를 선점하려는 수요가 몰린 탓이다. 소위 ‘수출 선점 경쟁’이 치열해진 것이다.
관세가 오르 전에 물류비가 오르고 있는 것인데, 이는 장차 미국내 물가 인상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향후 미국 가계에 과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초래라는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징지찬카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정보센터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낙찰 데이터를 발표했다.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올 6월 중국에서 미동부, 미서부 항로로 수출되는 컨테이너 운임 지수는 각각 전월 대비 37.6%, 29.9% 크게 상승했으며, 이는 5월보다 각각 32.3%p, 19.6%p 증가한 수치이다.
중국민생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원빈은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상반기 미국의 관세 정책이라는 변동성 속에서도 중국의 수출은 강한 회복력으로 외부 불확실성에 견뎌냈다. 전술적으로는 수출 시점을 선점했고, 전략적으로는 무역 파트너의 다변화를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거시 데이터를 보면 5월 중국의 상품 수출입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고, 그중 수출은 6.3% 늘었다. 국가통계국 대변인 푸링후이는 “중국 외교 다변화 전략 하에 아세안 및 ‘일대일로’ 국가들과의 교역이 지속 성장하고 있다. 일부 노동집약형 제품 수출은 둔화되었지만, 기술집약도가 높은 전기·기계 제품의 수출은 확대되었다. 이는 무역 성장을 지지했고, 중국의 초대형 경제 규모와 완전한 산업 체계, 종합 경쟁력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반기 전망과 관련하여 광카이 수석산업연구원 원장 겸 수석 이코노미스트 롄핑은 “중국 수출은 여전히 압박을 받을 수 있으나, 각국의 반발이 미국의 관세 면제 연장을 유도하는 등의 유리한 요소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원빈은 “향후 중국은 국내 대순환을 기반으로, 다변화된 시장을 지렛대로 삼고, 산업의 해외 진출을 경로로, 과학기술 혁신을 엔진으로 하는 새로운 외贸 전략 체계를 가속 구축할 것이며, 외부 충격에 대한 대응력과 능동성을 전면적으로 강화하고, 글로벌 경제·무역 질서 재편 속에서 더 큰 발전 공간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