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베트남, 동남아 경제 선도국

글로벌 경기 침체 속 3분기 7.3% 성장

베트남이 동남아시아 경제의 기관차 역할을 하고 있다. 베트남은 세계적 경기침체 속에서도 올해 3분기 7.3%의 경제성장을 이룬데 이어 11월까지 외국인 투자액이 318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 성장했다.

 

베트남은 동남아 국가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국가이다. 세계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2018년 배트남의 GDP는 7.08%로 2008년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했으며, 전세계에서 경제 성장 가장 빠른 국가 중의 하나가 되었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6.7%의 성장세를 이어갔고, 올해 상반기 배트남은 6.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리고 베트남은 올해 3분기에 7.3%의 경제성장을 기록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동양의 하와이'로 불리는 베트남은 해안선이 길고, 천연적인 항구를 보유하고 있어 해상운송이 편리하고, 지리적으로 우세가 있다. 베트남은 1980년 이후 국내 경제 개선에 주력하며 외국인 투자를 끌어당기고 노동력, 토지 원가가 낮기 때문에 복잡한 국제무역 환경 속에서도 계속 성장을 할 수 있다.

 

베트남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외국인의 베트남 투자 총액은 318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2018년에도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300억달러가 넘었다. 외국인 투자 국가인 일본은 베트남이 가장 잠재력이 있는 투자 국가라고 평가했다.수 출 선도형 경제인 베트남은 외자 흡인을 통해 현지 공장을 설립하여 수출품을 생산하고, 무역업을 발전시켜 베트남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다.

 

2019년 1월부터 11월까지 베트남의 전체 무역 규모는 4737억3000만달러였다. 이 중에 수출액이 2414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2019년 베트남 전체 무역 규모가 2018년 GDP의 2배인 5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