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美, 디지털 국가경쟁력 1위

상하이사회과학원 발표…싱가포르, 중국 2~3위

미국이 디지털 국가경쟁력에서 3년째 세계 1위를 유지했다. 싱가포르는 디지털 혁신 경쟁력이 미국보다 앞서지만 전체 순위를 2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디지털 산업 경쟁력이 미국보다 우위지만 디지털 경제 관리 등에서는 열세다. 그래도 중국의 디지털 국가경쟁력은 미국과 격차를 좁히며 3위에 올랐다.

 

 

상하이 사회과학원이 주관하는 '글로벌 디지털 경제 경쟁력 발전 보고서(2019)'가 공식 발표됐다. 국가경쟁력 측면에서 2018년에는 미국, 싱가포르, 중국이 세계 디지털 경제 국가경쟁력 순위 1~3위를 차지했다.

 

2019년도 보고서는 2018년 글로벌 디지털 경제와 관련된 국가, 도시, 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글로벌 디지털 경제 국가, 도시, 기업의 경쟁력을 전반적으로 평가하여 글로벌 디지털 경제 경쟁 발전의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 국가 경쟁력 측면에서 미국의 디지털 경제의 종합 1위 지위는 당분간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디지털 산업 경쟁력에서 미국을 넘어 세계 1위를 차지했지만 디지털 경제 관리 등 분야에서는 여전히 경쟁력 한계가 남아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세계 디지털 경제 경쟁력 1위는 미국이 차지했으며 총점 75.94점을 받았다. 미국이 3년 연속 세계 디지털 경제 경쟁력 1위를 차지하면서 디지털 경제 분야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보였다. 부문별 경쟁력의 4가지 지표를 보면 미국은 디지털 산업 경쟁력, 디지털 혁신 경쟁력, 디지털 시설 경쟁력과 디지털 관리 경쟁력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싱가포르는 중국을 넘어 2위에 올라 60.96점을 기록했다. 경쟁력 내부 구조를 보면 싱가포르의 디지털 혁신 경쟁력 점수가 미국보다 높다. 디지털 관리 경쟁력 점수도 중국보다 훨씬 높다.

 

중국은 57.37점을 기록했다. 최근 3년간 미중의 디지털 경제 경쟁력 격차 변화를 보면 해마다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 2016년 23.82점이었던 미중의 디지털 경제 경쟁력 격차는 2017년 21.19점, 2018년 18.57점으로 더욱 좁혀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