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마카오 관광객 전년比 9% 증가...반면 홍콩은 추락

지난해 처음으로 1억명 돌파…7년 연속 증가

 '반 송중 사태'로 홍콩 경제가 추락하고 있지만 마카오는 관광객이 늘면서 신바람이다. 관광객이 7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한 가운데 지난해 처음으로 1억명을 돌파했다.

 

 마카오 특구 정부는 지난 1일 지난해 마카오의 출입국 총인원 및 입국 관광객 수가 신기록을 갱신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1년간 마카오 총 출입국 수는 1억9400명으로, 2018년의 1억7400만명보다 9% 늘었다. 7년 연속 증가세다.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각 출입국 항구 중 관샤 항구(关闸口岸)가 가장 높았다. 이 항구는 연간 1억4500만명의 출입국자 수를 기록, 전년에 비해 약 8% 상승하여 2019년 전체 출입국 인원수량의 75%를 차지하였다. 이 중 2019년 12월 28일 출입국 인원이 48만4000명에 달해 관샤 항구의 당일 신기록을 세웠다.

 

 또한 홍콩 강주아오대교 개통 이후 승객량이 상승해 2019년 연간 출입국 인원수량은 1330만 명으로 마카오 전체의 7%를 달했다. 홍콩 강주아오대교 항구의 하루 최고 출입국 기록은 7만8000명으로 마카오의 두 번째 큰 출입국 항구가 됐다.

 

 마카오 방문 관광객은 2018년의 3580만명보다 10% 가량 늘어난 3940만명을 기록했다. 중국 대륙 여행객들이 대부분으로 약 2800만명에 달했다. 홍콩 및 대만은 2,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뒤를 이어 한국, 필리핀, 일본, 미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싱가포르, 호주 순이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