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과 인도, 고등교육 전략면에서 차이 분명...중국의 한판승

총입학률은 중국 46%, 인도 26%

 전문가들은 중국과 인도를 비교하는 것을 좋아한다. 양국 모두 인구가 많고 땅이 넓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경제 국가였다. 그러나 고등교육에 있어서는 중국과 인도의 차이가 분명하다.

 

이런 차이를 형성하는 주로 원인은 양국이 지난 20년 동안 서로 다른 전략을 채택하였기 때문이다.

 

 고등교육을 비교하는 한 가지 상용지표는 총입학률(GER), 즉 젊은 인구 중 고등교육 재학자 비율이다. 2000년 인도는 약 10%, 중국은 8%였다. 이후 양국 GER은 모두 증가하고 있지만, 증가 속도는 다르다. 2005년에는 중국이 19%, 인도가 11%에 육박했다. 2010년에는 중국이 24%, 인도가 17%였다.이후 5년간 격차가 더 벌어져 중국은 46%, 인도는 26%를 기록했다.

 

 양국의 고등교육 발전 차이는 인구정책이 다르기 때문이다. 1980년대 이후 중국 성인들은 인도보다 문맹율이 낮다. 중국은 고등교육 기회를 늘려주고 있다. 외동 정책으로 가구 재산은 빠르게 쌓이게 되었다. 이는 자녀들 학교 교육 등에 대한 더 큰 수요를 만족했다. 인도에서는 세대 간 재산 이동이 더 분산돼, 교육에 투자하기가 쉽지 않다.

 

 두 나라 모두 고등교육 정원을 늘렸지만, 중국에서는 공립 학교에서 정원을 늘리는 경우가 많다. 반면 인도에서는 유료 사립대학이 성장을 많이 흡수했다. 중국이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한 후, 연안 도시들은 외국의 고등교육에 개방되었다. 반면 인도는 고등교육에서 외국 고등교육 방식이 맞는지를 논의하고 있는 중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