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라오스, 중국과 통화 협력 협정 채결...자국 화폐로 결제

양국간 무역 확대에 큰 도움 될 듯

 중국 중앙은행이 라오스 중앙은행과 본국 통화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고 라오스 언론이 9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중국과 라오스 양국은 2020년 1월 6일부터 모든 경상자본 거래에서 양측은 자국 통화를 직접 사용해 결제가 가능해졌다.

 

 앞으로 라오스와 중국 양국 간 통화 협력이 더욱 강회되고 경제 교류도 긴밀해질 것으로 보인다.

 

 통계에 따르면 2019년 1월~11월 중국과 라오스 양국 간 무역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면서 35억4000만 달러를 돌파해 17.4% 증가했다. 증가 비중이 아세안 국가 중 4위에 올랐다. 중국은 현재 라오스의 1위 투자국가이자 1위 수출시장이고, 교역 파트너중에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기업은 2019년 1~11월 해외 인프라 사업 합작중의 비금융류 56개국 직접투자가 127억8000만달러에 달했다. 싱가포르와 라오스 등에 주로 투자됐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이 시장 개방을 계속 확대함에 따라, 더 많은 나라들이 중국과 통화 협력을 하려고 하고 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40개 국가 또는 지역과 통화 스와프를 맺고 있으며, 전체 교환액은 3조 위안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3분기까지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중 위안화 자산이 전 분기 대비 2.01%로 상승, IMF 통계 사상 세계 위안화 보유 자산 이 가장 높아졌다. 동시에 주도적인 달러화는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3분기 글로벌 달러 외환보유액은 2014년 66%에서 61.78%로 떨어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