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신종코로나-경제 `두마리 토끼' 잡기 사투...둘 다 놓치면 어쩌나

정부 지원대책 쏟아져도 전염병 우려로 공장 가동률 낮아
다국적 기업들 중국 의존도 높아 떠나지도 못하고 속앓이

 

‘코로나도 경제도 잡아라’

신종 코로나 감염증 대응에 ‘전국 봉쇄’라는 강력 대응으로 나선 중국이 봉쇄조치로 쇠약해지고 있는 경제 진작에도 안간힘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방향의 두 마리 토끼를 잡기는 힘겨워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2일 로이터와 AP, 신화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은 춘제(春節·설) 연휴를 마치고 이번 주부터 공식적인 경제활동 재개를 선언했다.

하지만 봉쇄조치로 인구 이동이 제한되면서 공장가동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우한 등 주요 도시를 원천봉쇄하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6000만 명이 격리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산된다.

문제는 이들이 격리가 되면서 전자산업, 자동차 산업 등 주요 산업의 공장이 제대로 돌지 않는다는 점이다.

더욱 문제는 국제 벨류체인에서 중국의 위치다. 중국은 각 선진국에 부품 공급을 하는 공장 역을 맡고 있다. 중국 공장이 돌지 않으면 세계 각국의 주요 공장도 자연스럽게 제대로 돌지 못한다.

당장 우한만해도 전자와 자동차 부품의 주요 공장들이 밀집한 곳이다.

중국 정부도 이 같은 사실을 모르지 않는다.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어떻게든 공장을 가동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신종 코로나의 재창궐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공장을 가동시키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 같은 자국내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1조7천억위안(2천427억달러)의 긴급자금을 수혈했다. 단기 시장금리도 전격적으로 인하했다.

전문가들은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민은행은 실제 지난 6일에는 시중은행의 지급준비율 인하와 전대차관(국내 거주자에게 수입 자금으로 대출할 것을 조건으로 외국의 금융 기관으로부터 빌려오는 외화 자금), 어음재할인 등의 수단들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도 대규모 재정살포에 나서고 있다. 중국 재정부는 지난 6일 코로나 방역에 719억위안(103억달러)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재정부는 또 기업 활력을 위해 세금도 대폭 낮췄다. 방역을 위한 기부 물품과 구급차, 소독약 등 수입품의 관세와 소비세, 부가가치세를 지난 1월 1일 자로 소급해 오는 3월 말까지 면제하기로 했다.

앞서 공상은행은 업들의 생산 재개 등을 위해 430억위안(61억4천만달러) 이상의 긴급자금을 풀기로 했다.

그러나 중국의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제의 회복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인구 이동이 제한된 상황에서 공장의 일꾼을 찾기조차 힘들다. 소비도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중국 경기마 부진하면서 국제 원자재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석유와 구리,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이 폭락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선진국 기업들이 국제 벨류체인의 변화를 꾀할 정도다. 경제적 타격을 줄이기 위해 생산기지를 다른 나라로 옮기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그리 간단한 일은 아니다. 중국은 완제품은 물론 자동차와 전자 등 주요 부품의 생산기지 역할도 하고 있어 가장 효율적인 입지 조건을 구축해놓은 상황이다.

기업이 생산기지를 옮기면 그만큼의 기회비용을 더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UBS에 따르면 중국은 전 세계 스마트폰과 노트북 생산의 80% 이상을, 컴퓨터, 핸드셋 등에서는 5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 자동차 생산의 27%, 전 세계 자동차 부품 수출의 8%를 각각 점유하고 있다.

컨설팅회사인 베리스크 메이플크로프트(Verisk Maplecroft)의 카오 유 아시아담당 선임 애널리스트는 “코로나로 인한 중국 경제부진은 세계 각국의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면서 “중국 입장에서는 빠르게 벗어나려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박정연 기자·베이징=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