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4억 중국인의 일상음식 10大 교자/만두 (6위-10위) ②

매일 14억 중국인들이 먹는, 맛과 전통이 최고인 중국 교자/만두 TOP 10 ②

교자( 饺子) 밀가루반죽 피속에 고기 두부등 다양한 소( 馅 xian 속)을 넣어 만든 것이고 , 만두 (馒头) 는 밀가루 반죽 피 속에 아무것도 넣지 않고, 밀가루 반죽의 맛이 다르거나 모양을 다양하게 만든 것.

 

중국에서 교자/ 만두를 먹은 유래는 약 2 천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드넓은 중국대륙에서 각 지방 특색이 두드러 진 것은 청나라때인 약 3-4백전 부터라고 전해진다.

 

1편 (5월 25일자 기사)에 이어 2편 을 소개한다.

 

6. 陕西酸汤饺 (샨시 물만두)

 

 

 

중국서북부 샨시성특색으로, 상당히 시고 맵고 고소한 양념과 재료로 만든 뜨거운 탕속에, 따로 익힌 교자를 풍덩 넣어 함께 먹은  일종의 교자 탕이다. 첫맛은 톡쏘고 시큼해 식욕을 살리고 뒷맛은 고소하고 향기롭다.

 

샨시성의 천추, 즉 진한 색의 흑초( 陈醋 )는 중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산도가 높으면서도 고소한 뒷맛이 일품이다.  중국인들의 건강식으로 매일 이 천추를 작은 숫갈로 먹는? 마시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탕은 뜨거운 물을 채운 그릇에,  향초( 香醋)나 흑초( 陈醋 ) 를 넣고, 고추기름과 셩초우(生抽)라는 우리의 국간장같은 맑은 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감태와 말린새우, 깨소금과 흰 후추가루 그리고 샹차이나 쪽파를 썰어넣은 다음 익은 교자를 넣어서 국물과 함께 먹는다.

 

소개하는 기사를 쓰는 동안에도, 샨시 흑초의 강렬하면서도 고소한 풍미가 떠올라 몸이 소스라쳐지고 식욕이 돋는다..

 

7. 广东虾饺 (광둥 새우교자) : 일명, 수정새우교자 (水晶虾饺)

 

 

사시사철 해산물의 천국인 중국 남서부 광둥성의 특산물. 

 

교자속의 분홍색 새우빛깔이 은은하게 비치도록 얇은 피로 감싼 새우교자를, 남부의 향기로운 차한잔에 곁들여 입에 넣으면, 그 오묘하고 고소한 달콤한을 무엇에 비하랴.

 

입속에서 녹는 새우교자를 목뒤로 넘기고 눈을 떠서 더위를 찾는다. 어디로 갔느냐고...

 

 

 

 

 

 

 

 

 

 

 

8. 苏州状元饺 (쑤저우 쥬왕위엔교자

 

 

쟝시성 수저우 지방의 해산물 소로 만든 교자. 외형이 과거 금.은으로 만든 주물화폐인 위엔빠오 (元宝) 를 닮았다는 과거교자의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세월이 흘러 모양이 변하긴 했으나, 다른 교자들에 미래 약간, 주먹비슷하게 혹은 타원모양에 가까운 교자이다. 주로 탕 국물 없이 쪄서 먹는다.

 

* 참고로 중국화폐의 단위인 위안(元) 도 아래 사진의 과거 화폐인 위엔빠오(元宝)의 앞글자를 차용해서 만든 말과 뜻이다.

 

 

9. 湖北金鱼饺 (후베이 금붕어만두)

 

재료상의 특징을 뚜렸하지 않지만, 창지앙( 长江)변에 위치한 후베이성에서 만들어진 역사가 오래된다.  아마 창지앙에서 잡히는 어류를 많이 먹던 이 지방사람들이, 물고기모양으로 교자를 빚어먹은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교자피의 광택이 아름답고 부드러워 인기가 높다.

 

10. 上海锅贴饺子 (상하이 군만두)

 

 

대도시 상하이의 바쁜 생황에 쫓기는 시민들이 간단하게 만든 만두를 철로 만든 납작한 솥에 기름을 두르고 구워서 먹은 만두. 

 

남부의 습한 기후속에서 바삭하게 익은 교자를 간장에 식초를 섞은 장에 찍어 간편하게 먹은 대표적인 거리음식.  소는 주로 돼지고기를 사용한다.

 

이 밖에도 중국인들이 즐겨 먹은 교자의 모양은 아래 사진에서 처럼 매우 다양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