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코로나19 종식선언 국면에 신의 한 수?

2656년 된 청명절 한식의 형식과 의미로, 대대적인 희생자 추도식 거행.

 

2020년 4월, 중국 15억 인민은 예년과는 많이 다른, 특별한 의미의 청명절한식을 맞았다.     

         

3일동안의 청명절 연휴가 시작되는 지난 4일,

중국정부와 인민들은 코로나19 희생자들을 위해 묵념하고 추도하는 특별한 의식을 수행했다.

 

중국시간 10시 정각, 3분 동안 희생자를 기리는 묵념을 시작으로, 자동차와 기차 선박 등 교통수단들도 일제히 멈춰, 희생자를 기리는 경적을 울렸다.

 

종묘제사에서, 편종을 울리는 제례악으로 혼백을 위로하는 것과 같은 예법인 셈이다.

 

중국 국내의 기관들은 물론 전 세계에 나가있는 중국공관들도 국기게양대의 오성홍기를 반기(半旗,조기, 弔旗)로 내렸다.

 

중국 칭밍지에(淸明節, 청명절)는, 춘절(春節, 음력설)과 중추절(仲秋節, 추석)과 함께 동양문화권    국가들에서 3대명절로 꼽는다.   1년 24 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로, 양력으로 매년 4월 5일 전후이다.

 

청명절에는 조상의 묘를 찾아 (省墓. 성묘) 음덕을 기리고 영령을 위로한다.

 

청명절에는 항상 한식(寒食)이란 말이 따라 붙는다. 한식은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매년 청명절과 같은 날이거나 전후이다. 그래서 ‘거의 때가 같다’라는 얘기를 할 때,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매일반’이라는 속담을 쓰곤 한다.

 

한식(寒食)은 말 그대로 찬 음식을 먹는 다는 뜻으로, 개자추의 고사에서 유래한다.

 

 

개자추 (介子推)는, 기원전 650년경 춘추시대 진(晋)나라의 공자(왕자) 중이(重耳)의 가신으로, 중이가 국내정변을 피해 국외로 떠돌 때 19년을 수행한다. 이 중이는 훗날 왕위에 올라 춘추시대의 2번째 패자가 된 진문공 (晋文公)이 된다.

 

개자추는 공자 중이를 수행하며 유랑걸식을 거듭하던 어느 날, 허기에 지쳐 사경을 헤매던 공자 중이에게 자신의 허벅지 살을 베어 고깃국을 끓여 바친다. 중이는 뒤늦게 개자추의 허벅지에서 흐르는 피를 보고 눈물지으며, 권토중래(捲土重來)의 결기를 다진다.

 

‘허벅지 살을 베어 윗사람을 받든다’는, ‘할고봉군(割股奉君)’이라는 성어는 이 고사에서 나왔다.

 

공자 중이가 풍찬노숙 19년 망명 끝에 본국에 돌아가 진문공에 오르자, 주위에는 또 군주를 속이고 아첨하는 무리들로 가득해진다. 개자추는 이런 염량세태(炎凉世態)를 뒤로 하고 노모와 함께 면산(綿山) 속으로 들어가 세상을 등진다.

 

진문공은 뒤늦게 충신 개차추를 찾아, 면산으로 수차례 사람을 보내지만 나오지 않는다. 아첨을 일삼던 신하 하나가 “면산에 불을 지르면 나올 수밖에 없다”고 하자, 개자추를 갈망한 진문공은 면산에 불을 놓고, 화마를 피해 나오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온 산이 다 타도록 나타나지 않았고, 개자추는 노모를 껴안고 죽은 채로 발견된다.

 

 

어리석었음을 통탄한 진문공은, 이날부터 매년 같은 날에는 나라전체에 불의 사용을 금하고, 자신도 불에 익힌 음식을 먹지 않았다고 한다. 한식(寒食)의 유래다.

 

고서에 따르면 개자추는 기원전 636年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해부터 청명절에 한식을 했다하니, 올해로 2656년 째 청명절한식이 이어져 온 셈이다.

 

올해 2020년 중국의 청명절한식날에는, 코로나19에 희생된 사망자들을 위한 추도식과 함께, 방역일선에서 환자를 치료하다 감염돼 목숨을 잃은 의사 리원량(李文亮)을 포함한 12명의 의료진과 경찰관 1명, 지역사회 근로자 1명 등 14명이 코로라19 열사로 추존됐다.

 

4일 0시 현재, 코로나19의 중국 누적 확진 자는 8만 1639명, 사망자는 3326명이다.

 

이 날 중국 미디어들은 평소의 컬러색채를 버리고 꼬박 24시간동안 진회색 화면을 유지한 채, 코로나희생자추도식 관련소식을 15억 중국인민들과 함께 했다.

 

바이두(百度)의 첫 화면 검색창도, 관영언론 신화왕(新華罔)뉴스도, 중국 중앙상무위원들의 합동묵념과 오성홍기 반기(半旗)게양장면들을 진회색으로 전했다. 

 

 

 

 

 

 

 

2656년 전, 잿빛으로 타버린 면산에서 개차추의 시신을 발견하고 통탄한 진문공은, 개자추의 장례를 성대히 치르고 강대국을 건설해, 춘추5패의 두 번째 패자가 된다..

 

2656년 후, 중국 미디어가 진회색으로 전한 청명절한식날의 코로나19 희생자추모식을 보면서, 일종의 오마쥬 (Hommage) 감상이 생기는 것은 비약일지 모른다.

 

개자추의 고사와 청명절한식에는 오랜 동양문화와 역사의 충(忠)과 효(孝) 가 있다.

 

신대륙에서 만들어진 기백 년의 미국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상황이고 타이밍이다.

 

수년전 중국특파원으로 베이징근무 중이었다면, 이런 청명한식날의 추모식을 기획한 당국자를 찾아 인터뷰라도 했을 법하다. 신의 한 수같은 택일에 대해서 말이다.

 

중국정부가 곧 우한의 봉쇄를 해제할 거라는 소식이 들려오는 가운데, 중국의 코로나19 확산은 진정국면으로도 보인다. 또 이번 청명절 추도식을 계기로, 중국의 산업과 경제현장들이 본격적인 정상화를 시작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머지않은 중국의 우한시 ‘봉쇄 해제’를, 중국정부의 코로나19 종식선언으로 볼 수도 있다는 분석도있지만, 글쎄다.

 

약속시간 맞춰 서둘러 집을 나오느라, 지하철역에 다 와서야 마스크가 생각나 되돌아 가야 할 정도로, 이곳의 코로나19 공포는 아직 엄연한 것 같다.

 

비방 (祕方)하나로 코로나를 퇴치할 수 있는 의학계의 신의 한 수를 염원한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