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같이 살아야 오래가는 것이다.

其不自生(기부자생;혼자 살지 않으니),故能长生(고능장생; 그래 오랜 사는 것이다.)

“같이 살아야 오래가는 것이다.”

저 하늘 아래, 이 땅 위에 과연 무엇이 혼자 살 수 있더냐?

먹이 없이 나는 새가 어디 있으며,

물이 없이 자라는 나무가 어디 있더냐?

태양 없이 자라는 꽃이 없고,

바다 없이 크는 물고기가 없다.

 

“天长地久;天地所以能长且久者;以其不自生;故能长生”

(천장지구; 천지소이능장차구자, 이기부자생, 고능장생)

 

“하늘과 땅이 오래고 오래도다. 하늘과 땅이 오래고 오랜 것은 스스로 살지 않기 때문이다.”

 

노자의 가르침이다.

혼자 살지 않기에 땅과 하늘이 오랜 것이다.

 

비와 먹이를 주기에

저 하늘에 새들이 날고,

이 땅에 식물이 자라고,

저 바다에 물고기가 헤엄친다.

그래서

저 하늘과 이 땅이 오래고 오랜 것이다.

 

하늘이 키운 식물은

동물을 키우고

식물로 자란 동물은

다른 동물을 키우고

식물의 씨앗을 번식케 한다.

 

나뭇잎은 떨어져 뿌리로 돌아가고,

동물은 땅으로 돌아가

다시 식물을 자라게 한다.

 

이런 순환을 이어가기에

저 하늘과 이 땅이 오랜 것이다.

 

내 삶에 네 삶이 필요하고,

네 삶에 내 삶이 필요할 때

우리는 오랠 수 있는 것이다.

 

 

노자의 '천장지구'에 대한 가르침이다. 노자는 중국에서 도가의 태두이며 공자의 스승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만큼 중국 다양한 사상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의 가르침은 한 마디로 '조화'다. 천명에 따라 서로가 주어진 것에 최선을 다해 자신의 몫을 하는 것이다.

인간의 선함을 북돋고 잘 났으면 잘난대로 못났으면 못난대로 서로 돕고 살라 가르친다. 그래서 그의 가르침은 사회가 힘들수록 빛난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로 어려운 요즘도 마찬가지다. 이럴 때 가장 필요한 가르침이 바로 노자의 가르침이다.

"혼자 잘 난 척 말라. 그냥 다를 뿐이다. 남을 살도록 해야, 내가 오래 산다." 지금도 병상에 코로나 간염증 확진 환자를 돌보느라 구슬땀을 흘리는 모습을 보면 절로 노자의 목소리가 울리는 듯 하다. 정말 사회의 구성원 '나'부터 실천했으면 하는 가르침이다.

노자 가르침을 되새기며 다시 한 번 그 가르침을 실천하는 우리 의료진에게 격려를 보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