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같이 살아야 오래가는 것이다.

其不自生(기부자생;혼자 살지 않으니),故能长生(고능장생; 그래 오랜 사는 것이다.)

“같이 살아야 오래가는 것이다.”

저 하늘 아래, 이 땅 위에 과연 무엇이 혼자 살 수 있더냐?

먹이 없이 나는 새가 어디 있으며,

물이 없이 자라는 나무가 어디 있더냐?

태양 없이 자라는 꽃이 없고,

바다 없이 크는 물고기가 없다.

 

“天长地久;天地所以能长且久者;以其不自生;故能长生”

(천장지구; 천지소이능장차구자, 이기부자생, 고능장생)

 

“하늘과 땅이 오래고 오래도다. 하늘과 땅이 오래고 오랜 것은 스스로 살지 않기 때문이다.”

 

노자의 가르침이다.

혼자 살지 않기에 땅과 하늘이 오랜 것이다.

 

비와 먹이를 주기에

저 하늘에 새들이 날고,

이 땅에 식물이 자라고,

저 바다에 물고기가 헤엄친다.

그래서

저 하늘과 이 땅이 오래고 오랜 것이다.

 

하늘이 키운 식물은

동물을 키우고

식물로 자란 동물은

다른 동물을 키우고

식물의 씨앗을 번식케 한다.

 

나뭇잎은 떨어져 뿌리로 돌아가고,

동물은 땅으로 돌아가

다시 식물을 자라게 한다.

 

이런 순환을 이어가기에

저 하늘과 이 땅이 오랜 것이다.

 

내 삶에 네 삶이 필요하고,

네 삶에 내 삶이 필요할 때

우리는 오랠 수 있는 것이다.

 

 

노자의 '천장지구'에 대한 가르침이다. 노자는 중국에서 도가의 태두이며 공자의 스승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만큼 중국 다양한 사상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의 가르침은 한 마디로 '조화'다. 천명에 따라 서로가 주어진 것에 최선을 다해 자신의 몫을 하는 것이다.

인간의 선함을 북돋고 잘 났으면 잘난대로 못났으면 못난대로 서로 돕고 살라 가르친다. 그래서 그의 가르침은 사회가 힘들수록 빛난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로 어려운 요즘도 마찬가지다. 이럴 때 가장 필요한 가르침이 바로 노자의 가르침이다.

"혼자 잘 난 척 말라. 그냥 다를 뿐이다. 남을 살도록 해야, 내가 오래 산다." 지금도 병상에 코로나 간염증 확진 환자를 돌보느라 구슬땀을 흘리는 모습을 보면 절로 노자의 목소리가 울리는 듯 하다. 정말 사회의 구성원 '나'부터 실천했으면 하는 가르침이다.

노자 가르침을 되새기며 다시 한 번 그 가르침을 실천하는 우리 의료진에게 격려를 보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