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책과 시를 읽는 것은 옛 선인과 함께 사는 것이요, 그 지혜로 일을 도모하는 것이다.

공자집어

시와 책을 읽는 것은 옛 선인과 함께 하는것이요, 그 지혜를 빌어 함께 고민하는 것이다.

"誦詩讀書, 與古人居; 讀書誦詩, 與古人謨"

(송시독서, 여고인거; 독서송시, 여고인모)

 

공가집어에 나오는 말이다. 뜻은 간단하지만, 되새길수록 묘미가 깊다.

문장은 책과 시를 읽는 이유에 대해 짚었다.

책과 시를 읽는다는 게 무엇인가? “옛 현인과 함께 있는 것이며, 옛 현인과 함께 도모하는 것이다.”

책에 등장하는 선인들의 지혜를 읽으며 그들과 대화하고, 그 대화를 통해 자신이 속한 현실 속의 자신만의 길을 찾아내는 것이라는 의미다.

 

책과 시를 읽으며 자신이 살아가는 길을 옛 현인들과 함께 찾는다.

문장 속 한 단어 단어마다 그 속의 의미가 깊다.

우선 옛 현인이라는 말이 눈에 들어온다. 본문은 그저 옛 사람이라 했다. 번역을 하면서 옛 현인이라 표현한 것은 지금까지 책 속에 전해지는 옛 사람이 보통 사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봤기 때문이다.

대체로 지금까지 세월 속에 인정받은 사람일 것이다. 그래서 번역을 옛 현인이라 했다.

다음이 “옛 현인과 함께 기거하는 것”이라 한 대목이다.

현인의 생각이 신묘하기는 하지만 그 시대의 한계 속에 있다. 그 시대와 내 시대를 함께 비교해야 현인의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있다. 자연스럽게 시대를 초월한 지혜를 추구하게 된다.

마지막이 “옛 현인과 함께 도모하는 것”이라 한 대폭이다.

시대를 초월해 책을 통해 옛 현인과 만나 얻은 지혜는 그냥 지혜가 아니다. 현실 속 책을 읽은 이의 문제를, 현실 속에 책을 읽은 이가 속한 한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다.

그냥 알고 있으라는 게 아니다. 도모는 뭔가 일을 꾸민다는 의미가 있다. 지혜를 얻었으면 실천을 하라는 의미다.

 

참으로 요즘처럼 유튜브가 정보 유통의 주류가 된 시대에 참으로 되새길 말이다 싶다.

정보의 홍수라고 할 정도로 수많은 정보가 있지만 어느 것 하나도 나 자신과 함께 나만의 삶의 길을 찾도록 하지 않는다.

 

누구의 문제일까? 독자의 자세 문제다. 그저 재미있는 글, 그저 당장의 쓸모만 찾으려 하는 게 문제다. 우리가 어느새 공자집어가 전하는 독서송시의 본연의 가치를 잊은 것이다.

유튜브의 정보들은 글로 쓰인 책이나 시가 아니지만 ‘정보’, ‘지식’이라는 점에서는 옛 책이나 시와 다를 것이 없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