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대사 '친구는 좋은 술을 대접하지만, 늑대가 오면 총을 꺼낸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 중국외교는 호불호(好不好)가 분명하다고 선언.

 

이번 5월 중국전인대가 홍콩보안법 제정을 밝히며, 미국등 서방세계와의 일전을 각오하고 있는 가운데, 싱하이밍 (邢海明) 주한 중국대사가 '우방에게는 선물을 선사하지만, 적에게는 단호한 응징'뿐이라는, 강한 표현을 사용해서 화제다.

 

CCTV 뉴스채널은, 지난 24일 중국주변의 주요 3개국, 즉 영국. 러시아. 한국대사를 위성으로 연결해 합동 인터뷰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했다.

 

이 날은 지난 22일 전인대에서 리커창 총리가 홍콩보안법 이라는 강력한 히든카드를 발표한지 이틀 만이다.

 

즉 중국중앙정부가 대미전선에서 결연한 의지를 발표한 이후, 주변 주요국가의 자국대사로부터 결전의 의지를 듣기 위한 방송으로 기획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자리에서 싱대사는, 이번 중국외교의 큰 방침에 대해, '朋友来了有美酒,过路的陌生人也有酒,但豺狼来了肯定是猎枪。'라는 말로 중국외교관으로서의 자세를 표현했다.

 

즉, '친구가 찾아오면 좋은 술로 대접하고, 과객에게도 술 한잔 따를 수 있지만, 늑대에게는 사냥총밖에 없다' 라는 비교적 강한 비유를 사용한 것이다.

 

통상 에두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외교의 세계라고 알려진 것과는 정 반대로, 싱대사는 상당히 직설적이다. 

 

싱대사의 성격이 호방한 원인도 있겠지만, 그만큼 이번 전인대를 계기로 대미관계 대 서방전선을 앞둔 중국중앙정부의 의지가 결연하다는 얘기일 것이다.

 

한국은, 특히 홍콩보안법의 등장으로 앞으로 곧 , 미국과 중국사이에서 조만간 어려운 선택의 기로에 처하게 될 것이 분명하다.

 

싱대사의 이런 비유적 표현은, 한국에게 중국의 친구가 될 것인가?, 아니면 늑대가 될 것인가? 를 묻는 말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그러기에 그가 이번 CCTV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들이 자못 중요하는 생각에, 그의 발언 내용을 간추려 보기로 한다.

 

싱대사는 먼저,  ' 외교라는 것은 본국의 방침을 관철시키는 것이다. 자신의 이야기를 잘 풀어놓고 상대의 이해을 구하는 것이고, 서로의 협력을 강화해 인류의 운명공동체의 건설을 촉진하는 것이다.'라고 입을 열었다.

 

그는 이어, '이해가 부족하면 오해가 생기는 법이다. 그래서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자국의 정책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압적으로는 절대 되지 않는다. 중국은 한국과 일본과의 합작을 통해, 역내경제일체화를 강화하고 있다.' 라고 강조했다.

 

싱하이밍 대사는, 또 ' 현재 중국은 지구적으로 그렇지만, 주변국가중에 친구(우방국)가 날이 갈수록 많아 지는 형국이다 그 친구들은 점점 중국을 더 많이 이해하고 존중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하지만, 다른 꿍꿍이가 있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악의적으로 중국을 공격하는데, 이런 친구에게는 단호하게 맞서고 결연한 투쟁밖에 있을 수 없다.

 

간단히 말하자면, '친구가 찾아오면 좋은 술로 대접하고, 과객에게도 술 한잔 따를 수 있지만, 늑대에게는 사냥총을 겨눠야 하지 않겠는가? ' 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중국에게 중요한 것은  흔들리지않는 목표정신을 갖는 것이다. 자신의 과업을 완수하겠다는 의지로 역량을 집중하고 견뎌내야 한다.  진정으로 상대를 대하고 관용과 은혜를 베출면 친구(우방국)는 점점 많아질 것이고, 우의은 갈수록 깊어질 뿐이다.' 라는 말로 회견을 마무리했다.

 

싱대사의 회견내용은 전체적으로, 외교상의 전통적인 강온양동작전 혹은 접근으로, 중국의 정책이 한국의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말이다.

 

그런데 한국이, 중국으로부터 좋은 술을 대접 받는 사이가 될지, 아니면 삐에런( 别人)즉, 다른 꿍꿍이가 있는 나라로 여겨질지, 이제 홍콩보안법의 등장으로 그 선택의 시계는 이미 바삐 돌기 시작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