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교육부 '호주 유학 사실상 금지', 호주경제 타격 다대.

中 문화여유부 ' 호주 여행 자제령' 이후 나흘만에 대호주 고강도 압박 재개.

 

중국국무원 교육부가 10일 홈페이지를 통해 내린 대호주관련 경고문은 " 오는 7월 호주의 대학교들이 개교를 앞두고 있으나, 세계적인 코로나19 태가 진정되지 않았고, 최근 호주내에서 중국교민에 대한 차별행위가 빈발하고 있으니, 호주유학을 위한 호주행과 호주대학의 신한기 개강에 참여하려는 중국인들은 이 점을 각별하게 주의하기 바란다" 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 교육부가 언급한 코로나19 확산과 중국교민에 대한 모욕사건들은 실제 일어난 사건이고 사실이기도 하다.

 

호주의 현지언론인 시드니모닝헤럴드 조사에 따르면 , 호주내에서 최근 코로나19가 중국에서 발원했다며 아시아인, 특히 중국인에 대한 혐오 행위가 잇따라 발생한 것은 사실이다.

 

이 신문은, 지난 4월 초부터 호주인들이 중국인을 포함한 아시안 계 주민들에게 신체적인 위해와 협박 그리고 침을 뱉는 모욕적 범죄들이 발생하기 시작해 약 1달동안에만 인종차별적 범죄행위가 386건이나 보고되었다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는 6월 초부터 ,  호주내에서 실제 발생됐고, 호주 인권위원회에도 제소된 중국인들에 대한 테러시도와 인종차별적 몇몇사건들에 대해, 호주 당국이 적극적인 조사와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대변인 성명등을 통해 강력히 촉구한 바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해 호주 정부당국은 일체 정식성명을 내지 않았다.

 

 

호주의 대학등에서 어학연수를 하거나 정식 유학을 하는 중국인들의 숫자는 약 25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대부분이 한 한기 혹은 1년짜리 단기 유학생들이긴 하지만, 이와 관련해 호주경제가 얻고 있는 효익은 어마어마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교육비로 지출하는 돈 뿐만아니라 이들이 비교적 장기체류하면서 사들이는 생활용품과 쇼핑목록을 감안하면, 중국유학생의 단절은 호주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