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沈清传01

 

 

       使人成为真正的人的根本是什么呢?爱情?道德心?同情心?对于这个提问,可能每个人都有不同的答案。韩国的祖先则认为“孝”才是使人成为真正的人的根本。自古以来,朝鲜半岛以孝为本。韩国的祖先认为“孝”是一个人行为的基础,所以格外重视孝道。这样的思想一直传承下来,直至今日,韩国人过年时还是会向长辈行礼拜年,以表示对他们的尊敬。

 

       “孝”思想相当于是韩国民族的一种信仰。古朝鲜时期,人们崇尚孝道感恩父母;三国时期,国家选拔孝子与孝女,授予奖赏,加以鼓励;高丽时代,王室实行了选用尽孝的老百姓当官吏的制度;朝鲜王朝以儒教思想为本,更加强调孝道。为了“孝”思想更加普及,朝鲜王室制作了《三纲行实图》、《童蒙先习》等有关孝道的许多书。在民间,《孝行录》等各种有关孝道的故事很流行。其中,《沈清传》是典型的强调孝道的古典小说。

 

       为了让眼盲的父亲双目复明,女儿沈清果断地自我牺牲,充当投海祭神的供品。那就是《沈清传》。投海之前,沈清虔诚地向神祈祷:“老天爷保佑,老天爷保佑。沈清一点都不冤,只希望看不见的父亲能够复明,用他的眼睛看到世界。”可见,沈清的孝心多么地深。

 

       《沈清传》的作者不详,也不知道成书的具体时间,但《沈清传》与《春香传》齐名,都是用韩文写的说唱型小说,而自从世宗大王创出韩文后,朝鲜民间流行韩文小说,所以专家们推测《沈清传》约成书于18世纪。《沈清传》是朝鲜老百姓的文学,所以其文学表现单纯、朴素,非常真实。

 

       韩国的祖先通过《沈清传》着力刻画了沈清对父亲尽孝的善良的性格。通过小说中沈清的形象,我们可以学到作为人、作为子女应尽的职责。

 

       使人能成为真正的人的“孝”。我们一起品读朝鲜时期最孝顺的沈清的故事。

 

 

笔者 金新星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