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영화관들 곧 재개방 시작할듯, 재개방 첫 상영작 선정소식 흘러나와...

 

지난 1월 말 춘지에(설날)부터 여섯달 동안 꽁꽁 문이 잠겨있던 중국의 영화관들의 재 개방이 임박했다는 방이 곧 개방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오늘 14일 오후, 허뻬이성에서 발행되는 허뻬이신문은 (河北新闻网)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당국이 영화관의 재개장을 허가할 경우, 가장 먼저 상영할 영화로, '첫 이별 《第一次的离别》' 을 선정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영화관에서의 영화 개봉은 국가영화국( 国家电影局)의 결정사항이다.

 

과거에는 국무원산하의 장관급 기관인 광전총국 (国家广播电视总局)의 소관이었으나, 2018년 국가기구개혁조치 이후,  신문발행과 영화관련업무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선전부가 직접 관리하기로 하고 그 아래 국가영화국을 신설했다.

 

그런데 국가영화국이, 영화관의 재개장시 처음으로 방영할 첫 영화를 선정했다는 것은, 그 위의 상부인 선전부가 속한 당 중앙위원회차원에서 영화관의 재개장 방침이 정해졌다는 말이다.

 

중국의 영화관들은 지난 1월 25일 춘절(설날)이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위해 영화관등 모든 공연장을 폐쇄했었다.

 

그러다 폐관 두달 만인 3월 24일에, 코로나 확산세가 잡힐 기미를 보였을 무렵, 일부 중소도시들 부터 약 5백여개의 영화관의 개장을 허용했다가,  4일 만에 다시 취소되면서 중국 전역의 영화관들은 지금까지 약 170일 동안 문을 닫고 있는 중이다.

 

지난 4월 상하이 인근 항저우시등을 방문중이던 시진핑주석이 말했다는, '영화를 보고 싶다면 인터넷으로도 볼 수 있다' 말이 회자될 정도로 영화관의 재 개관은 당시에도 요원한 일이었다.

 

전 중국의 영화관 수는 약 만 2400 여개 인것으로 알려졌다.

 

영화관만 문을 닫고 있는게 아니라 음악 연극 등을 공연하는 모든 공연시설도 문을 닫고 있다.

 

 

허뻬이신문은, 이 기사에서 언제부터 영화관이 재 개관될 지 구제척인 날짜는 밝히지 않았으나, 영화관 이후 각종 공연장등 대중밀집장소들이 잇따라 재 개관의 순서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영화관과 공연장등의 폐관으로 중국의 영화업계와 연극 음악등 공연업계는 수입없이 임대료를 부담하는 이중고에 시달려 고사직전으로 알려졌다.

 

일반시민들은 영화관과 공연장이 폐쇄됐지만, 인터넷 동영상 포털을 통해서 문화와 연예를 즐길 수은 있지만, 영화제작사와 공연기획사들의 주 수입원인 현장의 박스오피스 수입이 전무해 심대한 타격을 받고 있다.

 

지난 1분기 영상물의 박스오피스수입은 지난해 4/ 4분기의 10% 내외로 알려졌고, 4월 5월 6월 석달동안 하루도 문을 열지 못한 2/4분기의 박스오피스사수입은 통계도 필요없는 0원이었다.

 

중국의 서비스산업 종사자는 약 4억 명으로 추산된다.  영화관과 공연장은 물론 호텔과 쇼핑몰 백화점 식당등 모두 범 서비스 산업으로, 사람들이 운집할 수록 번영하는 업종이 바로 서비스산업이고, 현대의 거의 모든 사업이 서비스 업종에 속한다.

 

지난 1월 코로나 초기확산 시기에, 베이징대학의 국가발전연구원은, 이번 코로나사태로 중국의 서비스업 종사자 가운데 5%가 일자리를 잃으면 무려 2, 000 만명이, 10%면 4, 000만명이 일자리를 잃는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중국의 고위당국이 영화관의 재개관카드를 만지고 있는 것도 , 서비스산업계의 고용회복을 통해 경제절벽을 막으려는 고육지책에서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