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삼다수격인 중국생수 1위 농푸산츄안 공모에 무려 103조원.

 

한국의 생수가운데 1등이 제주 삼다수라면, 중국의 생수가운데 1등은 단연 농푸산츄안 ( 农夫山泉) 이다.

 

중국의 농푸산츄안 생수는 지난 2012년부터 생수시장 1위에 올라 지난해 까지도 2위등의 추격을 아주 멀찌감치 떨어뜨려놓고 있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생수브랜드이다.

 

그리고 오렌지쥬스와 중국 전통차 음료도 생산하고 있는데, 이 시장에는 비교적 늦게 진입했으나 이 시장에서도 3위를 유지하고 있는 음료계의 강적인 회사이다.

 

이 회사가 홍콩시장에 상장을 공고했는데 청약금으로 모두 6천770억홍콩달러, 한국돈으로 환산하면 무려 약 104조원이 몰린 것으로 집계됐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신문이 지난 7일 보도했다.

 

농푸산츄안은 이번 상장을 통해 83억 5천홍콩달러, 한화 약 1조 3천억원의 자금을 모을 것으로 알려져, 청약댓수가 약 100대 1을 기록하게 됐다.

 

한편 홍콩증시에 지난 2008년에 상장을 신청한 중국철도공사의 주식공개에는 한화 약 83 조원이 신청됐는데, 그에 비하면 20조원이 더 모인 것으로 최대 응모액수를 기록하게 됐다.

 

중국의 무수한 고속철도를 거느린 회사보다도 훨씬 인기가 높은 것을 반증하는 대목이다.

 

저장성 항저우에서 1996년 출범한 농푸산츄안은 지난 2008년 쓰촨성 원츄안 대지진 이전 까지만 해도 그저 보통의 음료와 생수회사증에 하나였다.

 

 

이 회사는 창사이후 지린성 창바이산 ( 백두산의 중국지역 이름) 의 천연지하수를 생산한 이후 2000년 베이징올림픽 공식생수 지정이나 2003년 중국우주항공회사의 우주인 음료 공식지정등의 탁월한 마케팅을 통해 이름을 날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8년 초 비타민 음료를 만들어 획기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는데, 그 무렵 2008년 5월 쓰촨 대지진이 발생했고,  그 때 회사의 경영진을 비롯해 수많은 직원들이 자원봉사에 나서 감동적인 전설을 만들어 내면서, 전국적인 지명도를 획득하게 된다.

 

기록에 따르면 농푸산츄안의 종샨샨(钟睒睒) 사장등 임직원들은, 5월 12일 원츄안 대지진 발발소식을 듣자마자 현장으로 달려가 7박 8일동안 현장에서 구조자원봉사를 했으며, 자사에서 생산하는 음료를 포함해 약 2500 만 위안 ( 한화 약 45억 원) 에 달하는 물품을 지원하고, 고아가 되거나 장애인이 된 어린이들을 특별지원한 선행이 알려지면서 , 중국공산당 기관지중 가장 권위있는 치우스 등에서 , 스촨대지진 10대 봉사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한편 2019년 지난해부터는 커피음료를 생산하면서 중국의 커피시장에 진입했는데, 업계에서는 미국계 스타벅스가 독점하고 있는 중국 커피프랜차이즈 업계에서 자국브랜드인 농푸산츄안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