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전술 36계 (三十六计) 제6계"동쪽을 칠것처럼 몰아놓고 서쪽을 때려라"

중국전술 36계 (三十六计) 제6계 : 셩동지시 { 声东击西 [shēng dōng jī xī] } : 한쪽을 시끄럽게 그쪽에서 일을 벌일 것처럼 속이다가 , 상대가 방심한 쪽을 쳐라. 

 

 

진짜 무기를 쓰는 전쟁의 목표도 이기는 것이고, 사업에서도 성공하려는 자도 경쟁자나 경쟁사보다 앞서가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세가 서로 비슷한 양자가 잔뜩 긴장한 상태에서 정면으로 부닥치면 조금은 강한 쪽이 결국 승리를 거둘 수 있겠으나, 그 손실이 패배한 측의 그것과 비슷하다면 상처뿐인 영광일 수 있다.

 

성동격서( 声东击西)의 큰 뜻은 ' 동쪽을 시끄럽게 하다가 서쪽으로 공격한다 '. 손자병법 36계중 이른바 전승계( 战胜计)6종류는 모두 속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표로 하는 대상지역의 동쪽으로 공격하려하면 상대도 그 쪽으로 몰려 수비할 것이고 서쪽을 공격하려 하면 그쪽을 대비할 것이니, 적의 주력이나 관심을 한 쪽으로 집중케함으로서 취약한 지역이나 지점을 생기게 해서 그 취약한 곳을 노리면 승리한다는 뜻이다.

 

 

권투나 유도 태권도와 축구등 구기경기도 다 이 원리에서 치뤄지는 결투이다.  얼굴을 가격하려는 동작을 취함으로서 상대의 가드를 위로 올리게 하는 틈을 타 옆구리를 가격하는 훅 펀치로 하나로 KO승을 거두는 권투경기를 연상하면 이 손자병법의 제 6계가 기본적인 핵심전술을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자면 적으로 하여금 나의 변화를 눈치채지 못하게 한 상태에서 공격하라는 뜻이다.

 

춘추전국시대등 중국고대의 수많은 전투가 이와 같은 기조에서 치뤄졌음은 당연하고 그 실례도 셀 수없을 정도로 많다.

 

그리고, 현대중국의 전쟁사에서도 이 성동격서 전술을 응용되었다.

 

즉 대륙을 평정한 중국공산당 군대가, 병력이나 장비가 월등하게 우세했던 국민당 군대를 4-5년간의 국공내전에서 물칠 수 있었던 여러 전술 중 독특한 전술 하나는, 대치하고 있는 적진을 향해 야 밤에 나팔과 피리를 불고 징과 꽹과리를 치며 공격하는 것이었다.

 

이를 이미 잘 알고 있던 국민당군은 의례이 이와 같은 공격징조가 들리면 잠을 자지 못하고 밤새수비를 강화했는데, 날이 밝도록 공격이 없자 낮에 잠을 자다가 습격을 당했던 사례에서도 성동격서의 전술을 엿볼 수 있다.

 

즉 공격장소의 다름 뿐만 아니라 공격시간의 다름을 속이는 것도 크게보면 성동격서의 전술이라 할 것이다.

 

할 것같다가 안하고, 안 할 것 같다가 공격해 버리는 것은, 속고 속이는 우리 현대의 일상사에서도 매일 어디서나 재연되고 있는 성동격서라는 손자병법의 일환이라 할 것이다.

 

손자병법 제 6계는 " 속여서 상대의 힘을 빼라" 는 가르침이다.

 

중국어에서 성동격서의 반댓말로 사전에 나오는 말은 우더팡스,  { 无的放矢 [wúdìfàngshǐ] } 라는 말이 등장하는데, 이는 표적도 없이 아무데나 화살을 쏜다는 말이다.

 

상대를 속이려면, 상대가 진짜로 생각할 정도로 집중적이고 철저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진짜보다 더 진짜인 것처럼 속이는 일은 그러나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훈련이건 전략이건, 결국 결코 쉽지않은 일을 수행한 이가 승리를 가질 자격이 있다는 말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