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극복 보란듯이, 춘지에 명절 중국극장 입장수입 약 78억위안(한화 1조 2천억원)

 

중국전통의 춘제 명절 연휴동안 , 중국 극장가 박스오피스가, 역대 최고액을 기록한 2019년 보다32% 가 증가해, 무려 78억 2200만위안 , 한화로 환산해 약 1조 2천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국가영화국이 어제 18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서 2월11일~17일 전국 영화 박스오피스는 역대 최고 기록인 2019년 59억500만 위안보다 32.47% 증가한 78억2200억 위안으로 알려졌다.

 

이는 또 세계 단일 시장에서의 일일 박스오피스와, 세계 단일 시장 주말 박스오피스 등 극장수입관련 한 모든 세계 기록을 새로 세운 것으로 신화통신은 전했다.

 

올해 춘제 연휴 극장가는 2019년(1억3200만명) 대비 21% 늘어난 1억6천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17일 기준 연간 총 박스오피스는 115억8800만 위안, 관객 수는 2억6200만 명, 국산 영화 박스오피스는 112억26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입장수입과도 연동되면서 관객들이 완성도가 높은 영화로 선정한 영화로는 ‘안녕, 리환잉 , Hi, Mom’과 ‘당인가탐안 3편’, ‘인조흉용’ 등 세 영화가 선정돼, 올해 춘제 연휴 영화 관객 만족도 1위~3위를 차지했다.


진실한 가족애를 그린 ‘니하오, 리환잉’은 웃음과 눈물로 가슴을 따뜻하게 적셔 관객을 사로잡았다.

 

‘당인가탐안3’은 미스터리 추리와 코미디 구조가 합해진 유쾌한 영화이며, '인조흉용' 도 다소 황당한 설정을 유머러스하게 풀어낸 영화로 평가되면서, 서사적 장르로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는 평을 받았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