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묘지값도 천정부지 상승, ' 살아서는 아파트할부 죽어서까지 무덤할부'

중국은 지난 3일부터 일요일인 5일까지 2박3일동안 칭밍지에 ( 清明节 ,청명절) 연휴를 지냈다.

 

청명절을 쇠는 풍습의 습속은 중국이나 한국이나 같다고 볼 수 있으며 기 시기는 음력 2월 24일이다.

 

이 시기는 양력으로 4월 5일 전후이다.

 

4월 5일 한국은 식목일로 정해 나무를 심는 날로 기념하기도 한다.

 

나무를 심는 다는 것은 식물이 잘 자라나는 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 곡식을 심는 밭갈이를 시작한다는 뜻으로 동양의 오랜 24절기로 오랫동안 역사가 매우 깊은 날이기도 하다.

 

한국은 휴일과 무관하지만, 중국은 청명절 전후로 3일간의 국가 지정 공휴일이다.

 

코로나19 판데믹의 영향으로 , 올해 중국의 매체들은 코로나19을 극복한 중국에서는 이 3일 휴일동안 1억 4천만명의 여행객들이 소비를 촉진해,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원래 중국이나 한국이나 청명절은 새로운 한해가 시작되는 자연의 섭리를 기리는 것으로, 곡식을 심어서 새로운 연명을 기약하기도 하지만, 역시 자연의 섭리에 의해 돌아가신 선친들의 무덤을 살피고 후손을 번영케 해준 선조들의 제사를 지내는 명절의 의미가 더 컸다.

 

오늘의 내가 있음을 가능하게 해주시고 자연으로 돌아가신 부모등 선친들의 묘를 살피고 절을 올리는 절기라는 뜻이다.

 

당장의 역병인 코로나19을 극복하고 원활한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 1억 명이 넘는 상춘객들이 이동했다는 기사를 내보낸 신화통신은, 또 한 편 여전히 청명절이 조상의 은덕을 기리는 날이라라는 기사와 함께, 묘에 관한 의미있는 기사를 게재했기에 소개한다.

 

바로 중국의 경제발전에 따라 산 사람들이 아파트등 살집을 마련하는 데도 큰 돈이 들지만, 앞으로 자신들이 묻힐 묘자리를 도시 인근에 장만하는데도, 적지 않은 돈이 들고 대도시 일수록 근교의 묘지 값이 폭등하고 있다는 기사를 게재했다.

 

 

"인생을 살면서 사야 할 것이 두가지 인데, 하나는 사는 동안에 살 집과 죽어서 살 집이다. "

 

" 사는 동안 집값의 할부금을 갚느라 살았는데, 내 묘지값는 죽어서도 계속 할부로 값아야 하나?"  가 신화통신의 청명절 특집기사의 하나의 도입부이다.

 

 

이 통신은 최근 묘지값의 상승이 가팔라, 베이징과 상하이 등 일선 도시의 도심지 인근의 묘지값이 최고 백 만위안 ( 한화 약 2억 원) 을 넘어섰고, 윈난 성 등 여러 성시에서는 묘지 구입을 위해 약 20만위엔 ( 한화 약 2천 만원) 짜리의 대부상품이 등장했다고 전했다.

 

신화통신의 보도에 의하면 베이징시 북부의 창핑구에 위치한 창필천쇼우능원묘지( 昌平天寿陵园墓地) 의 경우 0.45평짜리 묘자리가 최저 11.88만 위안 ( 약 천만 원) 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신문은 또, 랴오닝성의 성도인 센양시 인근의 능원의 경우도, 1평 짜리 묘자리가 3만위안 에서 최고 20만위안 ( 약 2천만 원) 를 홋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