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교통건설그룹, 국영기업 순위 17위로 분야별 35개 자회사

 

중국교통건설그룹( 中国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 유한회사) 은 중국내 모든 고속도로와 일반도로 그리고 도로 교량의 건설과 함께 중국항구의 항만건설등을 총괄하는 이른바 도로와 항만등 소위 중국내 사회간접자본의 건설을 도맡아 진행하는 국가소유의 대규모 건설회사이다.

 

즉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 감독관리위원회 산하의 최상위 중앙기업으로 분류된다.

 

1949년 신중국 건국이후 설립된 중국항만건설공사와 중국도로교량건설공사를 지난 2005년 통합해 새롭게 출범하면서, 산하에 토목 건설 분야별 35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고 주식시장에 상장된 회사 2개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 비유하자면 37개 건설 토목회사를 거느리고 있는 재벌 급 사회간접자본 건설전문 회사인 셈이다.

 

한국에서는 고속도로와 항만등 건설규모가 큰 토목공사들을 현대건설 대우건설 쌍용건설등 민간의 재벌그룹산하의 건설회사들이 국토교통부의 국가도급을 맡아 건설했고 하고 있지만, 중국은 이 모든 국가발주 도급공사를 이 중국교통건설그룹이 모두 다 도맡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국영기업의 자산규모는  700억 위안이고, 항만건설에 사용되는 특수선박을 약 800척 이상 그리고 도로 교량등 특수건설용 장비를 약 5,600 대를 보유하면서, 약 7만 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글로벌 순위 78위로, 미국의 컴퓨터회사 델 ( DELL / 글로벌 순위 81위) 와 일본의 니산 자동차 ( 글로벌 순위 83위) 와 한국의 현대자동차 ( 글로벌 84위)  보다 , 매출액이 더 큰 회사로 위치해 있다.

 

중국교통건설그룹은 2013년 시진핑 주석의 취임과 함께 전개된 글로벌 일대일로사업의 확장으로, 중국이 차관을 제공하고 진행하는 서남 동남 아시아 와 남미 대륙 그리고 아프리카 등지에서 전개하는 고속도로와 항만공사등을 도맡아 그 매출규모가 한층 커지고 있는 중이다.

 

2020말 현재 총연장이 약 16만 킬로미터에 달하는 중국의 고속도로 ( 시속 120 킬로미터의 4차선 이상의 도로 ) 의 건설을 수행했고, 중국 남서부의 산악지역인 꿰이저우 성, 꽝시장주자치구 등의 고속도로에 건설된 고난도의 현수교량들과 동북3성의 고속도로 터널등이 모두 이 중국교통건설 그룹의 역작이다.

 

 


 

 

 

그리고 조선소의 대형선박건설용 도크와 중동등에서 수입되는 원유와 천연가스의 하역전문 항만의 건설도, 이 그룹이 전담해서 건설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