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인터넷 플랫폼 Top 5...바이두의 텅쉰이 1위

 

중국은 실생활 인구도 많지만, 온라인 네티즌 수도 세계 최대다.

그러다 보니 중국에서는 적지 않은 플랫폼들이 유니콘으로 성장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게 바로 텐센트다. 위쳇을 내놓은 텐센트는 플랫폼으로 출발해 지금은 그 플랫폼을 채우는 콘텐츠업체, 게임업체로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 

최근 금융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가장 걸림돌은 중국 당국이다. 아직 중국은 거의 모든 분야가 허가제다. 중국 당국에 거슬려 허가가 취소되면 모든 사업이 허망하게 망하고 마는 것이다.

그래도 그 위기 속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들은 여전히 있다. 다음은 중국 주요 플랫폼의 순위다.

 

1.腾讯 텐센트

텐센트는 1998년 창업한 중국 국내 유명 대형 인터넷 부가가치 서비스 제공업체로 소셜 플랫폼과 디지털 콘텐츠를 양대 핵심 사업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의 과학기술문화혁신그룹으로 산업·의료·소매·교육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2.阿里巴巴 알리바바

알리바바는 10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타오바오망, 티몰, 菜鸟网络, 飞猪, 阿里云, 聚划 등 여러 종류의 온라인 및 모바일 무역 플랫폼을 소유한 대형 인터넷 회사로 1999년 설립되어 2021년 3월 말 현재 알리바바의 전 세계 연간 활동 소비자가 이미 10억 명을 넘어섰다.

 

3.字节跳动

2012년 3월 중국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을 인터넷에 적용한 과학기술 업체로 2016년 인공지능랩을 설립해 개발된 오늘날의 톱 클라이언트는 새로운 뉴스 리더 모델을 열었으며 틱톡, 西瓜视频, 火山小视频, 懂车帝, Faceu 등 다수의 유명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4.美团

중국 국내 유명 생활서비스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메이단 테이크아웃, 폭스바겐 리뷰, 메이단 등 여러 종류가 잘 알려진 앱으로 외식, 배달, 공유 자전거, 호텔투어, 영화, 레저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해 2018년 홍콩교역소에 출시되었다.

 

5.京东

2014년 5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대형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중국 국내 유명 종합 B2C 쇼핑몰은 정품 보장과 출하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로 유명세를 탔으며 2019년 현재 순이익만 5769억 위안으로 사상 최대이며 연구개발(R&D) 투자액은 179억 위안에 달해 중국 기업이 기술에 비교적 많은 투자를 한 기업 중 하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