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5대 스포츠 경기장...베이징 국가 수영 센터가 1위

1990년대 초반, 한국과 수교 직후 중국 베이징을 찾은 이들은 중국의 다른 것은 몰라도 곳곳에 마련된 수영장을 보고 감탄했었다.

그만큼 중국에서 수영은 국민 스포츠 가운데 하나였다.

굳이 이유를 찾는다면 마오쩌둥이나 덩샤오핑 등 중국 공산당 주요 지도자들이 모두 수영을 좋아한 때문 아닌가 싶다. 마오쩌둥도 건강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운동으로 수영을 꼽았고, 평소 담배를 즐겼던 덩샤오핑 역시 수영으로 건강을 다졌다.

이에 중국인들 가운데는 선수급으로 수영을 잘 하는 이들이 많다. 무엇보다 중국인들의 장점 가운데 하나는 끝없이 배운다는 것이다.

10년이 지나도 수영 강사를 불러 자신의 자세를 교정받으며 배운다. 노인들의 수영 자세를 보면 실제 다년간의 교육과 훈련으로 멋진 포즈로 선수급 수영 실력을 발휘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사실 이 같은 점은 사회주의의 장점이라면 장점이다. 가난함이 극에 달한 시점에서도 국민 체육 진흥을 위해 국가적인 투자를 적지 않게 한 것이다. 

그래서 수영장도 수영장이지만 수영장을 포함한 체육관 설비도 각 도시 주요 거점지역마다 잘 배치돼 있다.

그런 중국의 어떤 체육시설들이 있을까? 1~5위를 살펴봤다. 

 

 

1. 北京国家游泳中心 (베이징 국가수영센터)

베이징 올림픽공원 내에 위치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랜드마크 중 하나로 워터큐브는 모두에게 잘 알려진 부지이며, 전체 면적은 약 10만 제곱미터이며, 수영, 스포츠, 헬스, 레저를 모두 갖춘 다목적 국제화 패션센터이다.

 

2. 上海东方体育中心 (상하이 동방스포츠센터)

상하이 동방스포츠센터는 제14회 국제수영연맹(FIFA) 세계선수권대회, 차이나컵 피겨 그랑프리 등 굵직한 대회와 행사가 열려 건축 외형 때문에 해상왕관으로 불린다.

 

3. 北京工人体育场 (베이징공인체육관)

베이징공인체육관은 베이징시 차오양구 싼리툰공인경기장 북로에 위치한 곳으로 당초 세계탁구선수권대회 건립을 위해 건설된 것으로 신중국 우표에 처음 등장한 체육관으로 지금까지 천 회가 넘는 행사가 성공적으로 치러져 스포츠 경기뿐 아니라 많은 스타들이 베이징을 찾는 1순위 장소 중 하나다.

 

4. 梅赛德斯-奔驰文化中心 (메르세데스 벤츠 문화센터)

5개 층에 1만8000석 규모의 최고급 음향과 공연시설을 갖춘 세계 최고의 엔터테인먼트·문화·스포츠·레저의 메카로, 상하이의 가장 역동적인 아방가르드 엔터테인먼트 랜드마크로 연평균 100여 회의 공연과 대회가 열려 92만 관객을 모았다.

 

5. 深圳大运体育中心体育馆 (선전 대운체육센터 체육관)

이곳은 육상, 수영, 농구 등 3종목 92개 세부 종목의 경기를 담당했던 선전 시내의 북동쪽에 위치한 제26회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의 홈구장으로 본관과 북쪽의 2개 워밍업장으로 구성된 중국 국내 최대 규모의 체육관 중 하나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