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정부 규제 강화로 中대도시 명문 학군 집값 급락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중국 주요 도시에서  소위 '좋은 학군' 부동산 값이 급락세다. 

본래 중국 부동산 가격은 학군에 따라 크게 좌우돼 왔다. 예컨대 중국 베이징의 베이징대학과 칭화대 등이 몰려 있는 하이뎬구는 베이징에서도 집값 비싸기로 유명한 곳이다. 

하지만 이 같은 현상이 지방 정부의 조치로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

23일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의 명문 학군에서 시세보다 500만 위안(약 9억원) 이상 싼 가격에 나온 아파트가 유찰됐다.

선전의 중심인 푸톈(福田)구에 있는 116㎡의 이 아파트는 앞서 경매에서 1천969만 위안(약 35억원)에 경매에 나왔다.

이 아파트는 주변에 외국어초등학교 등 학부모들이 선호하는 학교가 있다.

이 아파트의 경매 가격은 주변 동일 평형대보다 싼 것이었다. 주변 시세는 2천500만∼3천만 위안으로 1㎡당 가격은 20만 위안(약 3천600만원)이 넘는다.

중국에서는 명문 학교 근처의 주택을 '쉐취팡'(學區房)이라 부른다.

중국에서는 학교를 해당 지역 주민만 갈 수 있어 나온 현상이다. 좋은 학교 근처에 집이 있으면 자녀를 그 학교에 입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자연히 좋은 학교가 있는 지역의 집값이 뛰었다. 하지만 이 같은 현상은 최근 달라졌다.

앞서 푸톈구의 다른 지역에 있는 104.7㎡짜리 아파트는 경매 시작가가 1천84만 위안으로 시세보다 30%가량 쌌는데도 결국 유찰됐다.

2차 경매 가격은 867만 위안까지 내려갔다.

이는 선전시가 지난 1일 교육 불공평을 해결하기 위해 새 조례 초안을 발표한 탓이다.

새 조례 초안은 학군의 범위를 크게 넓히는 것이었다.

기존은 한 아파트에서 특정 초등학교나 중학교 1곳으로만 진학했다. 하지만 새 조례로 인해 한 아파트에서 2∼3개 학교 지원이 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교사 순환 근무제도 도입된다. 좋은 학교는 좋은 선생이 있기 때문인데, 이 선생들이 순환근무를 한다는 것이다. 

선전시의 조례는 아직 의견 수렴 단계다. 하지만 이미 집값에는 선 반영되고 있다. 집 주인들은 100만 위안 이상 가격을 낮춰 집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선전시에 앞서 베이징에서도 지난달 말 비슷한 조례를 내놨다.

도심 시청(西城)구의 일부 학군은 최근 한 달 사이 거래량이 50% 이상 감소했다. 거래 가격은 3∼5% 내려갔다.

중관춘(中關村) 지역에서는 1㎡당 평균 가격이 17만∼18만 위안에서 14만∼15만 위안으로 떨어졌다.

베이징과 선전시 뿐이 아니다. 상하이도 올해 3월 학군 밖의 학생들을 더 많이 받도록 정책을 개편했다. 또 충칭(重慶), 시안(西安), 샤먼(廈門), 청두(成都), 다롄(大連), 난징(南京), 허페이(合肥) 등 10개 넘는 도시가 비슷한 조치에 나섰다.

결국 이들 도시에서 학군으로 덕에 높은 가격을 유지했던 부동산 가격은 모두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